바이오헬스산업, 미래의 성장동력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1-12-22 11:58 댓글0건본문
일반형 지역센터(3개소), 개방형 실험실(5개소) 선정 | |||||||||
선정된 기관은 병원과 함께 생명공학 협력단지(이하 ‘바이오 클러스터’)의 기반시설·자원(실험 장비, 입주공간, 임상의사 연계 등)을 활용하여 산·학·연·병 연계 개방형 혁신 플랫폼을 구축하여 보건산업 분야 창업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각 기관들은 지역 바이오 클러스터와 병원을 연계하여 창업기업에게 시설·장비·연구자원 등을 지원하고 아이디어 발굴, 사업화·컨설팅 지원, 임상 자문 등 사업화의 전 주기를 지원한다. 보건복지부는 수도권에 편중된 연구 인프라를 지역 클러스터와 연계시켜 줄 수 있는 바이오헬스 특화 기술사업화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종합지원 허브인 케이(K)-바이오헬스 전략센터를 운영(`22下)한다. 또한, 2022년에는 ’글로벌 백신 허브화 전략‘의 일환으로 ’케이(K)-바이오헬스 백신 특화형 지역센터‘를 3개소 선정함으로 국산 백신 개발과 글로벌 백신 허브 기반 조기 구축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이형훈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케이(K)-바이오헬스 백신 특화형 지역센터가 선정된 만큼 선정된 기관들에 대한 기대가 크며, 글로벌 백신 허브화 전략의 조기 목표 달성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많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케이(K)-바이오헬스 전략센터-지역센터-개방형 실험실 연계로 창업기업의 아이디어가 성공적으로 사업화될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성인병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