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투석 환자, 골절 시 심근경색증 주의 > 만성질환 뉴스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혈액투석 환자, 골절 시 심근경색증 주의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1-02-24 10:30 댓글0건

본문

 

척추골절 시 심근경색증 발생위험 2배 높아
111_24.PNG
 
대한신장학회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38,935명(혈액투석 환자 11,379명, 투석전 만성콩팥병 환자 27,556명)중 5057명(13%)에서 골절이 발생했고, 이중 1431명(3.7%)에서 급성심근경색이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특히, 척추골절이 발생한 혈액투석 환자에서 비골절군에 비해 심근경색증이 발생할 위험도가 2배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혈액투석 환자에서 골절과 급성 심근경색증이 상관 관계를 보이는 이유는 혈관 석회화와 뼈 강도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인자(고인산혈증, FGF-23 상승, 비타민D 감소, 부갑상샘기능항진증 등)들이 혈액투석환자에서 골절 뿐 아니라 심근경색증을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며 투석 중 저혈압과 허혈성 손상 등이 추가적으로 심근경색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연구를 주도한 권영주(고려의대 구로병원) 교수는 “만성콩팥병환자에서 골밀도를 포함한 뼈건강에 대한 관심이 더욱 요구되며 골절을 동반한 혈액투석 환자에서 급성심근경색증 발생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며, “투석 환자에서 골절 관리에 대한 기초자료 확립 및 심혈관계 질환과의 연관성을 시사하는 중요한 연구결과”라고 소개했다.

대한신장학회 산하 만성콩팥병 미네랄-뼈질환 연구회(회장: 노정우 한림의대 신장내과)는 ▲국내 투석 환자에서 골밀도 검사의 의의를 확인하고 골밀도 강화 표준치료 지침 ▲미네랄 지표 개선을 통한 혈관 석회화 관리지침 ▲혈관 석회화 진행을 완충하는 미량원소의 역할 확인 및 관리지침 등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대한신장학회가 지원하는 협동연구과제로 이루어 졌으며, OSTEOPOROSIS INTERNATIONAL에 온라인으로 발표되었다.

 
[성인병뉴스] cdpnews@cdpnews.co.kr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