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안전나라' 공공데이터 개방 확대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0-02-14 10:14 댓글0건본문
공공데이터 활용한 모바일 앱 및 웹서비스 개발 지원 | |||||||||
추가한 35종은 행정처분, 영업 인허가, 어린이기호식품 우수판매업소 지정현황,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 인정 현황, 음식점 식중독 발생현황, 학교 식중독 발생현황, 어린이급식지원현황 등이다. 지난해 식품안전 공공데이터의 활용 건수가 2018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하는 등 사용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분야 등의 공공데이터를 추가로 개방했다. 또한, 민간분야에서 ‘식품안전나라’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앱 또는 웹,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식품안전정보를 사용, 재사용, 재배포할 수 있는 형태로 공개할 예정이다. 아울러, 공공데이터의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온라인 및 유선 상담창구(1899-5590)’ 개설·운영 ▲앱 또는 웹 개발자 상담게시판 개설 ▲먹거리 정보산업 민관협의체 운영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식약처는 “이번 공공데이터 개방 확대를 통해 먹거리 정보산업의 활성화와 기업 부가가치 창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수요자 중심의 식품안전 공공데이터를 발굴하고 지속적으로 개방하는 한편, 민간 분야의 데이터 활용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성인병뉴스] cdpnews@cdp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