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유래 의약품, 알레르기 유발 > 만성질환 뉴스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돼지 유래 의약품, 알레르기 유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9-01-15 10:15 댓글0건

본문

알파 gal 증후군 환자는 신중하게 투여해야
woman-698954__340.jpg
알파 gal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돼지에서 유래된 성분이 함유된 약물에 알레르기 반응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 결과는 2018년 12월 15일자 The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In Practice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그에 따르면 알파 gal 증후군은 galactose-alpha-1,3-galactose의 특이적 IgE항체가 존재하는 포유동물의 고기에 대한 지연성 알레르기를 특징적으로 나타낸다. 

에슈쉬르알제트에 있는 룩셈부르크 건강연구소의 크리스티안 힐거 박사팀은 “민감한 환자들은 붉은 고기, 특히 돼지의 콩팥과 내장을 섭취할 때 위험하다. 그러나 포유동물에서 유래된 다른 다양한 제품들은 알파-Gal 에피토프(항원결정기)를 지니고 있어 알레르기 증상을 촉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밝혔다.

힐거 박사팀은 돼지에서 유래된 두 개의 의약품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잠재적인 능력을 조사했다. 두 의약품은 췌장리파아제, 즉 판크레아틴으로 알려진 애브비社의 크레온(Creon)과 노드마크社의 엔자이놈 f(Enzynorm f)이었다.

크레온은 아밀라제와 리파제, 프로테아제가 함유된 췌장 추출물로, 낭포성 섬유증과 췌장염, 췌장암 등과 관련해서 외분비성 췌장기능부전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엔자이놈 f는 펩신과 가수분해한 암소 혈액단백을 함유하며, 위장병 치료에 사용된다.

이번 연구에서 연구팀은 룩셈부르크와 독일의 의료기관에서 알파 gal 증후군을 가진 13세에서 67세 연령의 환자 17명을 선발했다.

알파 gal은 크레온과 엔자이놈 f의 단백 추출물에서 면역블롯검사를 통해 검출됐다. 크레온의 경우 약 27 kDa에서 알파 gal 반응성 밴드와 저분자량 영역에서 분산된 반응성이 검출된 반면, 엔자이놈 f는 42 kDa에서 현저한 밴드를 나타냈다.

크레온 캡슐 혹은 엔자이놈 f 정제의 내용물을 분쇄하여 몇 방울의 식염수를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피부에 바름으로써, 두 약물에 대한 prick-to-prick 피부검사가 시행됐다. 또한 gelafundin 4%와 쇠고기 및 돼지의 날고기, 돼지 콩팥에 대한 prick-to-prick 피부검사도 시행됐다.

피부검사는 두 약물에 대한 강한 양성 반응을 나타냈는데, 엔자이놈 f는 돼지 신장보다 의미 있게 더 큰 두드러기를 일으켰다. 알파 galdp 대한 특이적 IgE가 0.1 kUA/L 미만인 11명의 대조군은 반응이 전혀 없거나 훨씬 더 작은 두드러기가 나타났다.

돼지 콩팥과 크레온, 엔자이놈 f에 대한 호염기성 세포 활성 검사가 이루어졌다. 두 약물은 붉은 고기에 대한 지연성 알레르기를 가진 참여자들에서 호염기성 세포를 강하게 활성화시켰다.

호염기성 세포의 민감도는 돼지 콩팥보다 크레온과 엔자이놈 f에서 의미 있게 더 높았다. IgE 매개성 반응의 특이도는 효소면역억제측정법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두 약물은 피부검사와 호염기성 세포 활성에서 강한 반응성을 나타냄으로써 이들 약물을 섭취할 때 알파 gal 민감성 환자의 경우 잠재적으로 위험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어떤 증례도 보고된 바 없기 때문에 이번 연구에서 우리는 이론적인 위험을 보고한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연구팀은 “이들 약물은 실제적인 위험이 없거나 혹은 확증될 때까지 알파 gal 증후군을 가진 환자들에서 심중하게 투여돼야 한다”고 권고했다.
[성인병뉴스] cdpnews@cdpnews.co.kr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