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K억제제, 원형탈모증 치료 효과 > 만성질환 뉴스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JAK억제제, 원형탈모증 치료 효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8-09-20 13:36 댓글0건

본문

전두탈모증ㆍ전신탈모증 환자에서도 반응 나타나
hair-248050__340_2.jpg

임상시험 단계에 있는 2개의 경구용 야누스키나제(JAK) 억제제가 중등도 및 중증의 탈모증 환자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것으로 밝혔다. 이는 무작위ㆍ이중맹검ㆍ위약대조 방식으로 여러 기관에서 진행된 제2상 시험의 결과이다.

호주 멜버른에 있는 싱클레어 피부과의 연구자인 로드니 싱클레어 박사는 “이제 원형탈모증을 가진 환자들이 낙관적으로 여길 수 있는 근거를 갖게 됐다고 나는 생각한다”고 말했다.

싱클레어 박사는 지난 15일 제27차 유럽피부과학회(EADV) 학술대회를 통해서 전두탈모증과 전신탈모증을 가진 환자들조차도 JAK3 억제제인 PF-06651600과 JAK1/티로신키나제2 억제제인 PF-06700841에 반응했다고 보고했다.

세계적으로 1억4,700명이 갖고 있는 자가면역질환인 탈모증은 피부과 진료실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의 하나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믿을만한 치료가가 없는 실정이다. 중증의 만성 탈모증을 가진 사람들에서는 특히 더하다. 

환자 중 절반은 자연적으로 혹은 치료에 의해서 회복되지만, 나머지 절반은 회복되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만성ㆍ재발성 탈모증으로 진행된다.

싱클레어 박사팀은 18세에서 75세 사이에 속한 115명의 환자를 평가했는데, 이들은 6개월 이상 두피의 50% 이상에 영향을 미치는 원형탈모증을 가지고 있었다. 대상 환자 중 1/3은 4주 동안 PF-06651600을 하루에 한번 200mg씩 투여했고, 이후 20주 동안 50mg씩 계속 투여했다. 또 1/3은 4주 동안 PF-06700841을 하루에 한번 60mg씩 투여했고, 이후 20주 동안 30mg씩 투여했다. 나머지 1/3은 위약을 받았다.

일차 유효성 결과는 연구개시 당시부터 24주째까지 Severity of Alopecia Tool(SALT) 점수의 평균 변화였다.

그 결과 24주째 SALT 점수에서 위약 보정 평균 개선율은 PF-06651600의 경우 33.6%였고, PF-06700841의 경우 49.5%였다. 6주째와 4주째, 그 차이는 각각 위약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부작용은 3개 그룹에서 유사했으며, 대부분 경미했다. 그러나 PF-06700841 그룹에서 2명의 환자가 심각한 횡문근융해 사고를 경험했다. 이 둘은 치료를 중단했을 때 신속하게 부작용이 해소됐다.

미국 애틀랜타에 있는 에머리대학교의 제이미 매켈프레시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특히 그러한 개선 효과가 가장 중증의 원형탈모증 환자들에서 관찰됐기 때문에 고무적”이라고 평가했다.

이 연구는 화이자社의 후원으로 이루어졌다.
[성인병뉴스] cdpnews@cdpnews.co.kr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