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수급 안정화', 민관 협력 강화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8-05-16 14:16 댓글0건본문
백신의 수급체계 개선과 연구개발 협력 방안 논의 | |||||||||
우리나라는 필수예방접종 대상백신의 종류와 지원대상을 선진국 수준으로 계속 확대하고 있으나, 백신의 수입의존도가 높은 환경에서 현지공장 사정, 국외 감염병 유행 등 외부 요인에 따른 수급불안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이에 백신 수급체계 개선 및 향후 연구개발을 위한 정부와 민간의 공동노력이 중요한 시점이다. 5월 15일 오송청사에서 실질적인 백신 제조·공급을 담당하고 있는 국내외 업계 및 협회 임원진 대표와 질병관리본부장,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개발과장 등 20여 명이 향후 협력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어린이 건강보호를 위해 계속 확대하고 있는 국가예방접종사업의 안정적 추진을 위해서는 급변하는 세계 백신 공급 및 시장 상황 속에서 체계적인 백신수급 관리와 연구개발 가속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 본부장은 “작년과 달리 국외 제조사까지 참석하는 금번 간담회를 통해 백신 수급안정화를 위한 구매·배분방식 개선 등 제도개선, 자급화를 위한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설립 등 정부의 노력을 공유하였고, 이후 간담회를 정례화해 국내 현실 여건에 맞는 수급·자급 정책이 마련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여 더욱 실효성 있는 민관 협력체계가 운영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참석한 국내외 업계 임원진 대표들은 “안정적 백신수급 및 백신자급화를 위한 정부의 노력과 방향성에 공감, 백신가격 현실화, 백신부족 시 국외물량 긴급수입을 위한 관련 규제완화, 신규백신 도입을 위한 기준·절차 마련” 등을 위한 정부의 노력을 당부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4월26일 국가예방접종 수급안정을 논의했던 공청회와 이번 간담회를 통해 수렴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정부의 백신 수급 안정화 종합대책을 상반기 중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성인병뉴스] cdpnews@cdp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