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MEDICAL KOREA 2018' 개막 > 만성질환 뉴스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BIO&MEDICAL KOREA 2018' 개막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8-05-09 16:12 댓글0건

본문

 

5월 9일부터 11일까지 코엑스와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개최
2222222222222.PNG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의 미래를 만나는 「BIO KOREA 2018」과 「MEDICAL KOREA 2018」행사가 5월 9일부터 11일까지 서울 COEX와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막을 올린다.

◇ BIO KOREA, 국내외 45개국 600여개 기업이 참가

바이오코리아에서 신약·의료기기 첨단제품 등을 선보이고, 메디컬코리아 컨퍼런스와 바이오 헬스케어 구인구직 프로그램 등 다양한 행사가 진행된다.

올해 13번째 열리는 바이오코리아 행사는 우리나라 제약·의료기기 산업의 기술 수준을 세계에 알리고, 국제거래 및 교류를 증진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우리나라 바이오 헬스케어산업의 위상을 제고하는데 기여해왔다.

‘글로벌 헬스의 미래’라는 주제로 5월9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막식을 갖는 바이오코리아 행사에는 약 45개국 600여 기업에서 2만 5000여 명이 참관할 예정이다. 

400여개 부스로 구성 될 전시회와 국내외 기업이 교류하며 거래하는 비즈니스포럼이 진행된다. 또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최신 기술 동향을 강연하는 컨퍼런스와 국내 제약·의료기기 기업과 국내외 투자자가 만나는 인베스트 페어(Invest Fair) 등 다양한 부대행사가 열린다.

한-중 보건의료 기술 교류를 촉진하고자 특별히 기획된 ‘클러스터 포럼’에서는 중국 쓰촨성, 후난성, 광저우 등이 참여해 중국시장 진출에 대한 핵심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며, 우리나라도 오송·대구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 함께 정보를 제공한다.

전세계 제약 전문가가 참가하는 ‘GPKOL 심포지엄’에서는 글로벌 시장 진출 전문위원들의 강연이 준비되어 있고, 미국 및 유럽의 GMP 관련 주요 이슈와 의약품 생산전략(CMC) 등이 소개된다.

해외 관람객에게 우리나라 제약기업을 소개하는 ‘제약산업 홍보회’에서는 해외 임상 등을 수행하고 있는 국내 기업 등 우수한 우리나라 제약산업을 알리면서 해외 투자를 유치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또한, ‘의료기기 세미나’는 동남아 지역 진출 및 투자 유치 전략과 미국 시장 유통 진입을 위한 주제 발표가 있고, 제약·의료기기 분야의 구인구직을 지원하는 잡페어도 함께 개최되어 전문인력의 취업을 지원하게 된다.

올해 바이오코리아 행사에는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행사장을 방문하여 바이오 헬스케어 산업 관계자를 만난 후, 실질적인 수요를 반영한 정책 지원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 메디컬 코리아, 한–중 학술교류회 특별세션 등 총 10개 세션 구성

올해 9회째로 개최되는「메디컬코리아 컨퍼런스」는 국제 보건의료시장 동향, 외국인환자유치, 의료해외진출 등 4개 분야 10개 세션으로 구성되며 국내외 60여명의 전문가가 발표자로 참여한다.

올해는 쿠웨이트(보건부차관), 카타르(軍의무사령관), 바레인(보건부차관), 몽골(보건부차관), 중국(국가위건위 약정사 국장)의 보건의료 대표단이 참석하여 정부간 면담을 통해 한국 의료 진출 및 환자 유치 분야 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또한, 5월9일 개막오찬에서는 사우디 의료인의 한국내 연수를 위한 파트너십 체결식도 열린다. 

이번 협약은 그간 사우디 보건부 소속 의료인 위주의 연수를 사우디 교육부, 국방부 등으로 확대하기 위해 주한사우디문화원(Dr. Sami Al Abdulwahab), 보건산업진흥원과 보건복지부간 체결하는 것이다.

특히, 올해 메디컬 코리아 행사는 작년 사드사태 이후 경색된 한-중 정부·학회·의료기관 간 보건의료 협력 네트워크를 회복하고자 다양한 세션을 마련하여 對중국 채널 강화의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또한, 중국 보건의료시장 진출 정책 제도 설명회에서는 중국 중앙·지방정부 담당자가 중국 진출에 관심 있는 국내 기관을 상대로 제약·의료기기·의료기관 인허가 제도 및 정책 방향에 대해 직접 소개하는 기회를 가진다.

한중 병원 세미나를 통해서는 국내 의료기관과 중국 공립병원 간 R&D, 임상연구, 기술협력, 의료진 연수 등 분야 협력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여 차후 병원 간 지속적 교류의 토대를 놓게 될 전망이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성장 선도산업으로 도약하고 있는 바이오 헬스케어 산업을 직접 체험해보고, 해외 파트너와 교류해서 새로운 기회도 얻고, 취업준비생은 일자리를 구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메디칼 코리아가 한국의료의 대표 브랜드로서 자리매김하여 보건의료 세계화·미래화를 앞당기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노용석 기자] ys339@daum.net
[성인병뉴스] cdpnews@cdpnews.co.kr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