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건강 안심 프로젝트' 시행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8-04-27 16:49 댓글0건본문
여성용품 안전성 높이고 정보제공 늘려 안심환경 조성 |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여성용품 안전관리를 강화하는 ‘여성 건강 안심 프로젝트’를 마련‧시행한다고 27일 발표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여성들이 일상생활에서 밀접하게 사용하고 있는 식품‧의료제품에 대한 촘촘한 안전망 구축을 통해 여성 건강권을 보장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여성 건강 안심 프로젝트의 주요 내용은 ▲고품질의 안전한 여성용품 유통 환경 조성, ▲여성용품 안전관리 강화, ▲소비자 친화적 정보 제공 및 표시기준 강화, ▲여성의 목소리를 반영한 여성 보호정책 기반 마련, ▲다이어트 표방 제품 관리 강화 등이다. 〈 고품질의 안전한 여성용품 유통환경 조성 〉 여성 소비자의 생리대 불안감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고자 `17년 12월부터 생리대 피해 호소 사례에 대해 범정부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18년부터 유해성분 모니터링을 주기적으로 실시하여 소비자들에게 알리고, 제품 생산 시 휘발성유기화학물(VOCs)을 저감화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과 유해한 성분에 대한 안전기준이 마련된다. 화장품을 유통하기 전 사용된 원료를 식약처에 보고하는 ‘사전보고제’를 `19년까지 도입하여 사전 검증 체계가 강화된다. 화장품 분야 우수품질관리기준(GMP) 적용을 확대하고자 GMP 전문가를 양성하고, 국내‧외 최신 위해정보를 반영하여 원료 사용기준이 주기적으로 정비된다. 또한 여성‧소비자단체 의견을 반영하여 의약품‧화장품‧의료기기‧한약 등 각 분야별로 유통 중인 여성용품의 수거‧검사 대상을 확대해 유통‧광고 관리가 강화된다. 〈 여성용품의 안전 관리 강화 〉 산모용패드, 화장솜, 인조 속눈썹 등 안전관리 강화가 필요한 제품들의 경우 관계 부처 간 논의를 통해 안전관리 방안이 마련될 예정이다. 또한, 공산품으로 관리하던 ‘팬티라이너’를 4월 18일부터 위생용품으로 분류‧관리하고 있으며, 여성이 많이 사용하는 ‘제모왁스’는 `19년말까지 공산품에서 화장품으로 전환‧관리된다.. 〈 소비자 친화적 정보 제공 및 표시기준 강화 〉 여성들이 많이 사용하는 식품‧의료제품에 대한 안전정보를 카드뉴스, 영상, 리플릿 등으로 제작‧배포하여 안전정보를 확대한다. 올해 10월부터 생리대에 전성분을 표시하여 소비자 알권리를 보다 강화하고, 착향제 가운데 쿠마린 등 알레르기 유발물질 26종을 화장품 원료로 사용하는 경우 `18년 12월까지 해당 물질을 제품 포장에 표시하는 것이 의무화될 예정이다. 〈 여성의 목소리를 반영한 여성 보호정책 기반 마련 〉 여성의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여성단체와 상시 협의(월1회)를 위한 소통채널을 운영하고, 식약처가 운영하는 식품‧의료제품 분야 정부위원회의 여성위원 비율을 40% 이상으로 높이여 여성과의 소통을 강화한다. 보건복지부와 함께 폐경 여성을 위한 골다공증 등 예방을 위한 칼슘‧비타민D‧단백질의 충분한 섭취방안을 마련하고, 신체적으로 취약할 수 있는 여성들에게 맞춤형 안전정보를 발굴‧제공한다. 또한, 다문화 가정 여성의 삶의 질을 높여주고 정착을 지원하고자 식생활 실태조사 및 현황을 분석해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모유착유기 등 의료기기 안전사용 정보를 다국어로도 제공한다. 〈 다이어트 효능 제품 관리 강화 〉 다이어트 효능을 광고하는 건강기능식품에 “어린이, 임산부 및 수유부는 피할 것” 등의 주의사항을 표시하도록 의무화하고, `17년 도입한 건강기능식품에 사용되는 기능성 원료에 대한 재평가도 지속적으로 실시된다. 홈쇼핑, 오픈마켓과 같은 온라인에서 일반식품을 다이어트 효과, 모유촉진 효과 등 검증되지 않은 기능성을 주장하는 허위‧과대 광고에 대해 집중 점검하여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고, 향정신성의약품 식욕억제제 등 마약류의 인터넷 불법유통을 상시 점검하여 약물 오‧남용으로부터 여성들을 보호한다. 식약처 측은 “앞으로도 일상생활에서 밀접하게 사용되는 여성용품에 대한 안전관리 및 정보제공을 강화하고, 여성 소비자 친화적 정책을 지속 발굴함으로써 여성들이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는 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노용석 기자] ys339@daum.net |
[성인병뉴스] cdpnews@cdp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