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비만학회, '한국형 비만진료지침' 발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8-04-10 16:04 댓글0건본문
국내 2천만 명 이상의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 분석 | |||||||||
이번에 발표된 대한비만학회의 새로운 비만진료지침에는 체질량지수(BMI)에 따른 단계별 비만 진단 기준이 제시됐다. 체질량지수 25 kg/m2 이상인 경우 성인 비만으로 진단되고, 23~24.9 kg/m2는 비만전단계, 29.9 kg/m2까지 1단계 비만, 34.9 kg/m2까지 2단계 비만, 그리고 35 kg/m2 이상부터는 3단계 비만으로 진단된다. 대한비만학회가 2천만 이상의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수검자를 전수조사하여 관찰된 BMI와 허리둘레에 따른 동반질환 위험도 등을 반영해 국내 비만기준을 보다 세분화한 것이다. 주목할 만한 점은, BMI와 함께 허리둘레에 따른 동반질환 위험 및 사망위험의 관련성이 확인되면서 비만전단계와 3단계 비만(고도비만)의 기준이 마련되었다는 점이다. 약 2천만 명에 이르는 국내 성인의 빅데이터 분석 결과,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의 세 가지 질환 중 한 가지 이상을 가질 위험에 대한 분별점(Cut-off point)은 체질량지수 23 kg/m2로 확인되었다. BMI가 정상이거나 비만전단계라고 하더라도, 허리둘레가 남성은 90 cm 이상, 여성은 85 cm 이상일 경우 동반질환의 위험은 1단계 비만 환자와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기준은 기존과 동일하지만, 3단계 비만 기준이 추가된 바, 이는 BMI 35 kg/m2 이상 구획에서도 BMI 추가 증가에 따라 당뇨병 및 고혈압 등의 동반질환 발병이 증가됨에 기초하였다. 대한비만학회는 허리둘레 증가에 따른 위험을 확인하기 위해 6개 집단(남성 80cm 이상, 여성 75cm 이상, 5cm 단위)으로 나누어 심뇌혈관질환 및 사망 위험을 분석했다. 그 결과, 새로운 심근경색 및 허혈성 뇌졸중의 발생 위험도와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이(총사망률) 허리둘레 증가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특히 심뇌혈관질환과 허리둘레의 관련성은 BMI 변수를 보정했을 경우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한 BMI가 정상이지만 허리둘레가 늘어날 경우 총사망률도 더욱 급격하게 증가하여, 허리둘레가 BMI 보다 비만으로 인한 심뇌혈관질환 및 사망 위험의 더욱 명확한 예측인자로 제시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번 빅데이터 연구를 주도한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이원영 교수는 “한국인에서 복부비만으로 인한 심뇌혈관질환 및 사망 위험이 예상보다 낮은 허리둘레 구간에서부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비만진단과 합병증 예방에 있어 BMI와 더불어 허리둘레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한비만학회는 국내 비만문제를 다방면으로 분석하고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대한영양사협회, 한국운동영양학회, 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시교육청 등 6개 기관 및 단체와 업무협약을 맺고 국내 비만 문제 진단과 올바른 비만 정책 마련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자료제공: 대한비만학회> [노용석 기자] ys339@daum.net |
[성인병뉴스] cdpnews@cdp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