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이식에 대퇴부 전층 피부 이식법 개발 > 만성질환 뉴스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피부이식에 대퇴부 전층 피부 이식법 개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8-01-30 17:06 댓글0건

본문

 

서울성모병원, 공여 부위 통증 없고 내구성 향상
%EC%84%9C%EC%9A%B8%EC%84%B1%EB%AA%A8%EB%
최근 교통사고와 같은 재해 뿐 아닌 악성종양과 심한 감염으로 피부이식이 필요한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대퇴부(넓적다리) 전층 피부 이식으로 피부를 뗀 자리의 통증은 줄이고 이식 받은 피부의 내구성은 높인 전층피부이식 수술법이 처음으로 발표되었다.

서울성모병원 정형외과 신승한·정양국 교수팀이 암, 교통사고, 당뇨발, 감염 등으로 넓은 범위 피부 이식이 필요한 10명의 환자에게 음압창상치료법으로 창상을 개선시킨 후 주로 사용되는 서혜부(아랫배와 접한 대퇴부 주변) 대신 대퇴부에서 전층 피부를 채취하여 이식했다. 그 결과, 수술 후 2~3일 내 공여부 통증이 사라지고, 대퇴부 당김 증상 등 합병증이 없는 것을 확인했다. 

피부이식은 피부 및 연조직 결손 부위를 덮어 주기 위해 다른 부위에서 피부를 떼어 옮겨 덮는 것이다. 떼어내는 피부 두께에 따라 부분층 피부이식과 전층 피부이식으로 나뉜다.

대퇴부는 피부가 넓어 이식할 피부조각을 떼어내기 좋은 부위이나, 피부가 두꺼워 대패와 유사한 기구로 피부의 표면만 벗겨내는 부분층 피부이식의 공여부로 이용되었다. 하지만 벗겨낸 피부가 아물 때까지 2-3주간 통증이 매우 심하고, 옮겨 덮어 준 수혜부도 피부가 얇아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신승한 교수는 “대퇴부는 피부가 다른 부위보다 특히 두꺼워 아무도 이 부위의 전층 피부를 이식할 생각을 못 하고 있었지만, 이번 연구결과 음압창상치료로 생착률을 높여 대퇴부 공여 전층 피부이식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이어 “대퇴부에서는 최대 30cm×8cm 크기의 피부까지도 얻을 수 있고, 특히 환자들이 부분층 피부를 떼고 면도날에 베인 것 같은 통증을 몇 주 이상 견디지 않아도 되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강조했다.

이 연구는 수부외과 및 미세수술 관련 국제학술지인 ‘The Journal of Hand Surgery Asian-Pacific Volume’ 2017년 12월호에 게재되었다.

<자료제공:서울성모병원>
[노용석 기자] ys339@daum.net
[성인병뉴스] cdpnews@cdpnews.co.kr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