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맞춤의료 실현 ‘정밀의료 사업단’ 출범 > 만성질환 뉴스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개인맞춤의료 실현 ‘정밀의료 사업단’ 출범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7-09-05 17:35 댓글0건

본문

진행성 위암 등 난치암 환자 2,000명 개인맞춤 치료 기회 열려
‘정밀의료 사업단’ 출범으로 개인맞춤 의료가 가능해지고, 안전하게 보관된 개인 건강정보를 실시간 진료에 활용하는 병원정보시스템이 개발된다. 

보건복지부는 개인맞춤의료 실현과 미래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정밀의료 사업단’을 구성하고 5일 고려대학교 의학연구원(KU-MAGIC) 4층에 사무국을 연다고 밝혔다. 

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란 개인의 진료정보, 유전정보, 생활습관 정보 등 건강 관련 데이터를 통합·분석하여, 치료 효과를 높이고 부작용은 낮춘 최적의 개인맞춤 의료이다.

복지부는 정밀의료를 실현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신(新)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으로 추진하며, 작년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 향후 5년간(‘17~’21) 국비 631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업단 공모 및 평가를 거쳐, ‘암 정밀 진단치료법 개발 사업단’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단장 김열홍 교수),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 개발 사업단’은 고려대학교의료원(단장 이상헌 교수)이 선정됐다.

사업단은 향후 5년간(‘17~’21) ▲ 난치암 환자 유전변이에 맞춘 표적치료제 개발(국비 430억) ▲ 환자 맞춤형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 개발(국비 201억)을 추진한다.

먼저 ‘암 정밀 진단·치료법 개발 사업단”’은 난치암 환자 1만명의 유전정보를 분석하여, 그중 표적치료제 적용이 가능한 약 2,000명에게 개인맞춤 치료를 적용하고, 3건의 표적치료제 개발을 추진한다.

매년 약 8만명(‘15년 기준 76,855명, 통계청)의 암환자가 적절한 치료법을 찾지 못해 사망하고 있으며, 암종별 표적치료제 개발이 성공할 경우 최소 15%, 최대 40%의 환자가 생명을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발생률이 높고, 생존율이 낮으며, 전이발생율이 높은 폐암, 위암, 대장암의 경우, 연간 5,000명~1만 3,000명이 유전변이를 표적으로 한 치료로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여 병원 및 연구자 모집은 국내 최고의 암 전문가 연구자 네트워크인 ‘대한항암요법연구회’를 통해 이루어지며, 美 국립암센터(NCI) 항암 임상시험 프로그램, 美암연구학회(AACR) 등과도 협력할 예정이다.

임상시험에는 새로 개발되는 항암제뿐 아니라 이미 허가된 표적치료제의 적용 질환 확대 등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여, 신약에 대한 우리나라 암환자의 접근성을 최대한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김열홍 사업단장은 “암은 국민건강에 미치는 영향만큼 기대효과 역시 가장 큰 분야이므로, 국민과 국가에 공헌·봉사하겠다는 자세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의지를 밝혔다.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 개발 사업단”은 의료기관의 진료, 진료지원, 원무 등 주요 기능을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로 개발하여 다양한 의료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보급할 계획이다. 

클라우드 기반으로 병원정보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환자는 개인 진료정보를 공간적 제한 없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의사는 진료 시 환자의 건강정보를 다각적으로 검토해서 개인맞춤 진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의료기관 규모 및 환경에 따라 병원정보시스템 기능을 선택적용 가능하도록 모듈화하고,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을 활용하여 국내 의료분야 클라우드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자 한다.

개발된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을 적극 보급·확산하기 위해 필수 기능은 Open-API(개방형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 형태로 공개하여 국내 의료 소프트웨어(SW) 기업들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하고, 의료산업 내 자생적 확산을 유도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헌 사업단장은 “재정여건이 열악한 지방·중소병원의 낙후된 병원정보시스템을 대체하고, 보안 전담인력 부재에 따른 개인의료정보 유출 우려를 해소 하는 등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의 활용도는 매우 높을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최윤영기자]sweets1019@naver.com
[성인병뉴스] cdpnews@cdpnews.co.kr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