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유방암 관련 단백질 발견 > 만성질환 뉴스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남성 유방암 관련 단백질 발견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7-03-22 17:07 댓글0건

본문

영국연구팀, 남성 유방암 치료 가능성 시사
people-1013546__340.jpg
여성에서보다 현저히 낮은 비율로 발생하는 남성 유방암은 연구가 부족하여, 여성에서의 치료법을 따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영국 리즈 대학 Matt Mumphries 박사와 연구진은 치사율이 높은 남성 유방암 조직에서 특정 단백질, eIF4E와 eIF5의 발현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고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Clinical Cancer Research지에 게재했다.

이 같은 발견은 남성 유방암을 특이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여성에서만 유방암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미국에서 매년 2,400명 이상의 남성이 유방암으로 진단받았다. 새로운 연구에서 남성 유방암과 연관 있는 두 가지 단백질이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발견은 보다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 주저자인 영국 리즈 대학 Matt Mumphries 박사 및 연구진은 최근 연구 결과를 Clinical Cancer Research지에 게재했다. 

미국암학회(American Cancer Society, ACS)에 따르면, 남성에서의 유방암 발생률은 여성의 약 1/100 수준이다. 또한 일생동안 남성의 유방암 발생 위험은 약 1000명 중 1명 정도이다.

남성 유방암은 상대적으로 드물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이의 병인을 효과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충분한 수의 참여자들을 모으기가 쉽지 않다.

이 같은 점은 남성-특이적 유방암 치료법의 개발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남성 유방암 환자는 여성 유방암 환자와 동일한 방식으로 치료를 받게 된다. 

Humphries 박사 및 연구진이 이끈 이번 새로운 연구에서는 남성 유방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두 가지 단백질을 발견함으로써 남성 유방암 치료의 방향을 바꿀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발견된 두 가지 단백질은 남성 유방암의 사망위험 증가와 연관 있다

영국의 Breast Cancer Now에서 제공한 697개의 남성 유방암 종양 샘플을 평가했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진행된 남성 유방암 연구 중 가장 대규모의 연구였다. 

연구진은 종양 샘플에서 두 가지 특이적인 단백질, eIF4E와 eIF5이 발현된 남성의 경우 그렇지 않은 남성에 비해 유방암 생존 가능성이 더 낮은 것을 발견했다. 

Humphries 박사는 “이런 남성들은 이 두 가지 단백질의 발현이 적은 남성들보다 유방암에 의한 사망 위험이 2.5배 더 높았다.”고 강조했다. 

Humphries 박사 및 연구진은 이 단백질들이 새로운 약물 표적이 될 수 있으며, 남성 유방암에 특이적인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한 걸음 더 나아가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Breast Cancer Now의 최고 경영자인 Baroness Delyth Morgan은 “이번 발견을 통해 연구자들은 남성 유방암 환자들 중 보다 광범위한 치료로부터 유익을 얻을 만한 환자들을 선별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계속적으로 남성과 여성 유방암의 생물학적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모든 환자들이 가장 적합한 치료를 받음으로써 생존율을 최대한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기존 약제로 이번 연구에서 발견된 단백질들을 표적화 할 수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공격적인 남성 유방암에 대한 치료를 향상시킬 가능성이 열릴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원문정보=http://www.medicalnewstoday.com/articles/316282.php. 약학정보원>
[성인병뉴스] cdpnews@cdpnews.co.kr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