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진료지침’…공공병원 적정진료 선도 > 만성질환 뉴스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표준진료지침’…공공병원 적정진료 선도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7-04-05 17:11 댓글0건

본문

슬관절치환술, 지침 적용 후 진료비 15%, 재원일수 5일 감소
noname01_15.bmp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제1차 공공보건의료기본계획에 따라 지역거점공공병원의 의료 질 향상 및 적정진료 강화를 위해 표준진료지침(CP, Critical Pathway)을 개발했다.

복지부는 2015~2016년까지 24개의 질환에 대해 CP를 개발하였고, 2017년 16개의 질환에 대해 추가로 CP를 개발할 예정이다.

주요 내용은 지역거점공공병원의 공공의료 기능 강화 및 기능 특성화, 공공의료기관의 안정적 인력관리체계 구축, 공공의료기관내 중증·만성질환 퇴원환자 관리체계 구축, 취약계층 지원 강화 등 이다. 

‘16년 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 서울대학교병원, 각 질환별 세부학회, 지역거점공공병원 시범병원(26개소)에서 총 109명의 연구진이 참여해 20개 질환에 대한 CP를 개발했고, 질환별로 세부학회에서 추천한 전문가를 통해 의학적 적정성 검토를 거쳐 CP대상 범위 선정, 목표 지표, 진료계획표, 교육 자료 등 중소병원에 적합한 최종 가이드라인을 작성했다.

개발된 CP는 ‘16년 구축한 ’공공의료 CP모니터링‘ 시스템 웹 사이트에 등록하여 공공병원과 민간병원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공공의료 CP모니터링 시스템은 19개소 지방의료원의 적용률, 완료율 및 경영·임상질 지표 등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 국립중앙의료원(공공보건의료지원센터)은 적정지표에 따른 목표를 정하고 병원이 모범 진료를 할 수 있도록 적정진료 진단 및 개선 컨설팅을 지원한다.

현 공공의료 CP모니터링 시스템에 등록된 지방의료원의 2015~2016년 실적을 볼 때 CP가 병원에서 적정진료를 할 수 있도록 선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탈장’의 경우 CP 보급 이후 적용률(‘15년초 26% → ’16년말 67.1%)이 높아지면서 재원일수(‘15년초 5.6일 → ’16년말 4.4일)가 적정 수준으로 개선되고 있다. 

▲‘슬관절치환술’의 경우 CP 미적용환자군(31.6일)에 비해 적용환자군의 재원일수(26.6일)가 5일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CP 적용환자군의 진료비 평균(996만7857원)이 미적용 환자의 진료비 평균(1180만8627원)에 비해 100분의 15(15%) 수준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슬관절치환술 CP가이드라인을 모니터링 중인 지방의료원 19개소에 모두 보급할 경우 연 입원일수는 총 11,875일 단축되고, 연간 진료비용은 약 43억71백만원 절감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CP개발 연구를 통해 지역거점공공병원은 적정진료를 위한 의료진의 인식 개선과 경영진의 의지(인센티브제도 확대), 환자의 만족도 증가의 효과가 있었다.

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공공보건의료지원센터)은 공공의료CP 개발·보급을 통해 지역거점공공병원뿐 아니라 민간병원까지 확대, 보급할 계획이며 의료서비스의 변화 및 발전에 따라 주기적으로 기 개발 CP를 갱신할 예정이다.

‘17년 수요조사 결과 국립대병원(동정맥류 등), 보훈·재활·정신병원(편측마비 등), 노인병원(파킨슨병, 알츠하이머치매 치료 등)의 공동개발요구가 있어 앞으로 다양한 공공의료기관의 의견을 수렴하여 CP를 개발할 계획이다.

아울러, 지속적인 공공의료의 적정진료를 위한 콘텐츠 제공 및 진료 네트워크 구축, 컨설팅을 
지원하여 공공과 민간병원을 연계하고 적정진료를 선도할 계획이다.

☞표준진료지침 (CP, Critical Pathway)이란?
-개별 병원에서 적정 진료를 행할 수 있도록 질환·수술별 진료의 순서와 치료의 시점, 진료행위 등을 미리 정해 둔 표준화된 진료 과정
ex) 뇌졸중·백내장수술 등의 상태에 따라 진료방법 등을 제시
‘공공의료 정상화를 위한 국정조사’(‘13.7월)에서 지방의료원의 핵심임무를 “양질의 적정진료 수행”으로 규정하면서 CP의 적용이 필요

☞슬(무릎)관절치환술
-심한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통증 원인이 되는 닳고 망가진 낡은 관절의 관절면을 깎아내고 그 자리에 금속 합금으로 된 관절로 바꾸어 관절면이 부드럽게 잘 움직이도록 하는 수술


[최윤영기자]sweets1019@naver.com
[성인병뉴스] cdpnews@cdpnews.co.kr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