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손상, 우울증 발병위험 높여 > 만성질환 뉴스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뇌 손상, 우울증 발병위험 높여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3-07-19 11:52 댓글0건

본문

“뇌진탕 후 우울증, 별개의 질병일 수 있어”
%EB%91%90%EB%B6%80_1.jpg

 
두부 손상 후 발생하는 우울증은 그 자체로 뚜렷한 상태일 수 있으며, 이는 기존의 주요 우울 장애와 다른 것이라는 새로운 연구가 제안되었다.

뇌진탕 후 우울증이 있는 사람들이 우울증과 관련된 뇌 회로에서 독특한 활동 패턴을 보인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 발견이 뇌진탕 후 우울증에 대한 뇌 기반을 밝히고 환자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강조한다고 말했다.

새로운 연구의 수석 연구원이자 보스턴에 있는 Brigham and Women's Hospital의 임상 신경정신과 의사인 Shan Siddiqi 박사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뇌진탕에서 회복되지만 일부는 우울증을 포함할 수 있는 지속적인 증상을 보인다. 사실, 외상성 뇌 손상(뇌진탕 포함)은 우울증 발병 위험을 약 8배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중요한 질문은 그 우울증이 뇌 손상 그 자체에서 비롯되는지 아니면 교통사고, 군사 전투 또는 축구장에서 머리에 타격을 입힌 부상을 초래한 사건의 정서적 트라우마에서 비롯되는지 여부이다.

Shan Siddiqi 박사는 “그것은 부분적으로 뇌진탕 후 우울증의 증상이 종종 다소 다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진단되는 우울증이 있는 사람들은 즐거움을 느끼는데 어려움을 겪는다.”고 설명했다.

Siddiqi 박사는 “뇌진탕 후 우울증에서도 발생하지만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과도한 좌절감을 보인다. 예를 들어 그들은 충동적으로 행동하거나 작은 일에 화를 낼 수 있다. 그 외에도 항우울제와 대화 요법과 같은 표준 우울증 치료는 일반적으로 두부 손상과 관련된 우울증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효과가 없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저널 최신호에 발표되었다.

Siddiqi 박사는 "이러한 유형의 우울증은 사람들이 경험한 뇌 외상과 관련된 독특한 질병인 것 같다. 궁극적인 목표는 이러한 형태의 우울증에 대한 치료를 개선하는 것”이라면서 “아직 입증되지 않았지만 뇌의 신경 세포를 자극하기 위한 비침습적 기술인 경두개 자기 자극(TMS)이 효과적인 접근법인지 여부를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휴식 상태의 기능적 MRI를 받은 다른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한 273명의 성인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했다. 뇌의 산소 흐름을 추적하는 일종의 뇌 영상으로 이 그룹에는 외상성 뇌 손상(TBI)을 겪고 우울증에 걸린 사람들이 포함되었다. 최근 TBI가 있고 우울증 증상이 없는 다른 사람, 우울증이 있지만 TBI가 없는 사람, 그리고 건강한 개인 등 세 그룹으로 분류했다.

TBI는 머리에 타격을 가해 발생하는 부상을 말하며, 뇌진탕은 일부 사람들에게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지만 스펙트럼의 더 가벼운 끝 부분에 있다.

연구 결과 TBI를 가진 대부분의 연구 참가자는 뇌진탕을 겪었다. 전반적으로 우울증이 있는 사람들(두부 손상 여부에 관계없이)이 동일한 뇌 네트워크 내에서 비정상적인 ‘연결성’을 보였지만 문제의 본질은 달랐다.

이러한 뇌 회로의 활동은 전형적인 우울증이 있는 사람들에서는 감소했지만 두부 손상 후 우울증이 있는 사람들에서는 증가했다.

Siddiqi 박사는 “TBI 관련 우울증이 있는 사람들의 경우 두부 외상이 이 특정 뇌 회로를 손상시켰을 가능성이 있다. 또는 머리 부상 치유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2019년에 223,000명 이상의 미국인이 TBI로 입원했으나, 더 많은 사람들이 머리 부상을 입어 병원에 입원하지 못했다. 같은 해 고등학생의 15%가 지난 1년 동안 스포츠 또는 레크리에이션 관련 뇌진탕을 겪었다.

[성인병뉴스]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