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생활방식, 심장질환 예방 > 만성질환 뉴스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건강한 생활방식, 심장질환 예방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3-02-17 11:53 댓글0건

본문

“금연, 소금 적게 먹고, 더 많이 운동해야”
%EA%B1%B4%EA%B0%95.jpg

 
“갑자기 심장마비가 온 것 같다고? 그것은 근본적인 관상동맥 심장질환에 의해 유발되었을지도 모른다. 심장마비는 매우 위험한 일이지만 건강한 생활방식을 바꾸면 예방할 수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에 따르면 관상동맥질환은 미국에서 가장 흔한 유형의 심장질환이다.

미국심장협회(AHA)는 coronary heart disease(CHD)는 실제로 coronary artery disease(CAD)의 결과지만 의사들은 CHD와 CAD라는 용어를 서로 바꾸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밝혔다.

뉴욕 심장협회의 회장인 조니 리 박사는 최근 이 질환에 대해 "관상동맥 질환은 예방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경고 신호는 가슴 통증, 호흡 곤란, 심계항진, 피로감을 들 수 있다."면서 “약물 및 생활 습관의 변화로 건강 상태를 관리한다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관상 동맥 심장 질환이란?
AHA에 따르면 이 질환은 관상동맥 벽의 왁시 콜레스테롤(waxy cholesterol)로 인한 플라크 성장 때문에 심장 근육으로의 혈류가 제한될 때 발생한다.

미국 국립심장폐혈액연구소(NHLBI)에 따르면 심장 표면의 큰 동맥에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그 플라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동맥을 좁힐 수 있다. 아니면 갑자기 플라크가 파열되면 혈전이 생길 수도 있다고 AHA는 말한다. 동맥경화증이라고 불리는 그 좁아지는 과정은 일부 또는 모든 혈류를 차단할 수 있다.

NHLBI는 미국인들이 가장 큰 사망 원인인 CHD를 가지고 있는 것은 매우 흔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최신 AHA 통계에 따르면 심혈관 질환의 유병률은 20세 이상 성인에서 48.6%에 달한다. CVD 수치에는 관상동맥 심장질환, 심부전, 뇌졸중 및 고혈압 환자가 포함된다.

▲관상동맥 심장질환의 원인
뉴욕시 NYU의과대학의 심혈관 의학교수인 에드워드 피셔 박사는 “심장병을 노인들의 문제로 생각할지 모르지만, 이 질병은 어린 시절부터 시작될 수 있다. 조기의 예방 조치는 평생 동안 더 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건강한 생활방식은 CAD의 진행을 지연시킬 것이며, CAD가 CHD를 유발하기 전에 퇴행될 수 있다는 희망이 있다."고 강조했다.

특정한 생활 습관은 누군가를 심장 질환의 위험이 더 높게 만들 수 있다. CDC는 신체적인 비 활동, 건강에 좋지 않은 식습관, 흡연 등이 포함되어 있다.

AHA는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것은 고혈압, 당뇨병, 비만과 마찬가지로 또 다른 위험 요소라고 한다. 만성 신장질환, 높은 스트레스, 수면 부족도 심장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루푸스와 같은 자가 면역 장애와 함께 임신 중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고감도 C 반응성 단백질, 프리클램프도 마찬가지다. 여성은 폐경 후에 더 높은 위험을 가지고 있는 반면, 남성은 45세 이후에 더 높은 위험을 가지고 있다.

미국 질병관리본부는 특히 50세 이전에 심장 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일부 위험은 유전적이라고 덧붙였다.

▲관상동맥 심장질환의 증상
Mayo Clinic은 가슴의 압력, 통증 또는 팽팽함은 CHD를 암시할 수 있다고 한다. 호흡곤란과 피로도 징후다. 다른 증상으로는 현기증, 메스꺼움, 식은땀 또는 팔이나 어깨의 통증과 불편함이 있다.

▲관상동맥 심장질환의 치료
다양한 검사가 상태를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치료에는 혈류를 회복하기 위한 외과적 절차가 포함되어 있다. 수술 옵션으로는 혈관성형술과 스텐트 배치, 관상동맥 우회 수술, 최소 침습 심장 수술 등이 있다.

생활방식의 변화로는 나트륨과 지방이 적은 식단, 운동을 더 많이 하는 식단, 금연, 건강한 체중에 도달하는 식단 등이 있다.

▲관상동맥 심장질환의 예방
일단 진단되면 이 병이나 더 큰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흡연자들은 즉시 담배를 끊어야 한다. 운동 루틴을 시작할 때는 의사와 상의하라. 매일 약 30분 정도 적당한 강도에서 격렬한 강도로 운동하는 것이 좋다.

[성인병뉴스]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