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메가-3, 심부전 환자에 도움 > 만성질환 뉴스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만성질환 뉴스

오메가-3, 심부전 환자에 도움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2-12-21 11:56 댓글0건

본문

AHA, 대체 치료법 새로운 지침 벌표
%EC%98%A4%EB%A9%94%EA%B0%80_2.png

 
미국심장협회(American Heart Association)는 심부전 퇴치에 도움이 되는 대체 치료법에 대한 새로운 지침을 발표했다.

미국 심장협회(AHA)는 광범위한 대체 요법과 심부전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는 새로운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의료 전문가를 위한 지침과 환자를 위한 권장 사항을 마련했다.

결론적으로 "환자들은 먼저 의료팀과 상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AHA 논문은 CoQ10, 비타민 D, 은행나무, 악마의 발톱, 생선 기름, 티아민, 산사나무, 비타민 E, 블루 코호시, 은방울꽃, 알로에 베라와 같은 보충제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동시에 알코올, 카페인 및 자몽에 대한 추가 조언을 제공하고 있다.

AHA는 "이러한 제제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규제를 거의 받지 않기 때문에 제조업체는 효능이나 안전성을 입증할 필요가 없다. 의료 전문가와 소비자 모두 잠재적인 효능과 피해 위험에 대해 교육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AHA에 따르면 20세 이상의 미국인 약 600만 명이 심장이 혈액을 제대로 펌프질하지 못하는 심부전을 앓고 있으며, 이들 중 약 30%가 대체 요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성명서에서 "소비자들은 FDA가 OTC(처방전 없이 구입할 수 있는) 약초 및 보충제의 순도, 품질 및 강도를 규제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 한 제품은 동일한 라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음 제품과 매우 다른 농도 및 순도를 포함할 수 있다.”고 밝혔다.

AHA가 성명서에서 밝힌 대체 치료법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오메가-3 지방산(어유라고도 함)이 심부전 환자에게 임상적 이점이 있다는 가장 강력한 증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의사와 상의한 후 적당히 사용해야 한다. 고용량에서 불규칙한 심장 박동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4g 이상의 용량으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오메가-3 PUFA는 심부전 발병 위험을 낮추고 이미 심부전이 있는 사람들의 경우 심장의 펌프 능력을 향상시킨다.

낮은 혈중 비타민 D 수치가 심부전 결과를 악화시킨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이 보충제를 복용하는 사람이 특정 심부전 약을 복용하는 경우 해로울 수 있다.

▲요가와 태극권도 잠재적으로 운동에 대한 내성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혈압을 낮추는 이점이 있다.

▲Blue cohosh라고 불리는 꽃식물 뿌리의 보충제는 빠른 심박수, 고혈압, 흉통을 유발하고 혈당 수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티아민, 알코올, 비타민 E, CoQ10 및 산사나무를 포함한 다른 치료법에 대한 연구에서는 혼합된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위험과 이점을 더 잘 이해하려면 더 많은 연구와 통제된 실험이 필요하다고 Chow는 말했습니다.

이 과학적 진술은 심부전 환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지침은 다른 건강 문제가 있는 사람들에게도 똑같이 중요하다.

이 성명은 최근 저널 Circulation에 온라인으로 게재되었다.

이와 관련 HealthDay News에 따르면 로스앤젤레스 시더스-시나이 의료센터 Smidt Heart Institute의 심부전 연구 책임자인 Michelle Kittleson 박사는 “새로운 AHA 지침을 보게 되어 기쁘다. 환자가 대체 약물을 복용할 때 환자를 관리하는 최선의 전략에 대해 혼란스러울 때가 있다.”면서 "이번 성명서에는 210개의 참고문헌이 있다. 전통적인 심장 약물과의 상호 작용 등 임상의들에게 많은 도움을 준다.”고 밝혔다.

[성인병뉴스]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