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질환 예방·홍보사업 참여 회사 공모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게시판

 

공지사항

공지사항

신장질환 예방·홍보사업 참여 회사 공모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2-09-05 09:54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공모를 9월 19일자로 종료했습니다. 

 

사구체 여과율 경피 측정기 Transdermal Mini GFR Monitor기증에 참여할 회사를 공모합니다.

 

한국만성질환관리협회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각종 만성질환의 효율적인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사업을 실시함으로써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하고자 설립, 보건복지부 장관의 허가(709)를 받은 공익법인입니다.

 

주요사업으로 1.만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관한 기술개발 보급 및 지도계몽, 2.만성질환에 관한 조사 및 기술의 평가3.만성질환 예방 및 치료에 관한 도서의 출판 및 대국민 홍보, 4.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한방, 운동, 생활, 영양요법에 관한 지도계몽, 5.기타 목적 달성을 위한 부대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본 협회는 이러한 사업의 일환으로 최근 신장질환으로 고통 받고 있는 환자들이 나날이 늘어가고 있음에 비춰 만성신부전의 효율적인 예방 및 관리를 위한 홍보사업을 전개하고자 합니다.

 

건강보험공단과 심사평가원이 공동 발간한 건강보험통계연보에 따르면 단일상병 기준 만성신장질환의 총 진료비는 21천억원으로 본태성 고혈압(34천억원), 당뇨병(23천억원)에 이어 3위에 해당합니다. 특히, 실제 진료실 인원이 25만명에 불과함에도 1인당 진료비는 840만원으로 1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그에 반해 고혈압과 당뇨병은 각각 55만원과 81만원에 불과합니다. 그리고 만성신장질환의 1인당 평균 내원일수는 40.11일로, 치매(47.31)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에 최근 다양한 신장 관련 연구 목적에 따라 신장(콩팥)의 기능을 기존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편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의학용 실험기기로 세계적으로 각광 받고 있는 사구체 여과율 경피 측정기인 Transdermal Mini GFR Monitor를 기증받아 필요한 연구자에게 제공하고자 합니다.

 

■ 「Transdermal Mini GFR Monitor는 독일 MediBeacon사 제품으로 이를 통해 신장 기능의 기본적인 이해, 신장 기능의 특성화, 신장 관련 질환 치료제의 평가, 신독성 평가 등을 위해 동물실험에서 다각적인 활용이 가능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첨부 자료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추진 계획

  - 916일까지 참여 회사 접수

  - 921일까지 본 협회 선정위원회에서 참여자 선정

  - 접수 및 문의 => 본 협회

    *조기 마감될 수 있으며, 세부 추진사항은 협의 후 결정

 

b5a557fd3322efda974ab8efc63cc4b2_1662339
 

■ 「Transdermal Mini GFR Monitor기기 주요 내용 요약 (*자세한 내용은 팜플릿 참고)

 

1. 업체명 : MediBeacon

 

2. 소재지 : 독일 (Cubex41, Theodor-Kutzer-Ufer 1-3, 68167 Mannheim, Germany)

 

3. 품목명 : Transdermal Mini GFR Monitor (사구체 여과율 경피 측정기)

 

4. 품목 상세 설명

1) 해당 실험기기는 전임상 연구(동물 연구)에 사용되며, 다양한 신장 관련 연구 목적에 따라 신장(콩팥)의 기능을 기존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편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의학용 실험기기입니다.

 

2) 이를 통해 신장 기능의 기본적인 이해, 신장 기능의 특성화, 신장 관련 질환 치료제의 평가, 신독성 평가 등을 위해 동물실험에서 다각적인 활용이 가능합니다.

 

3) 통상적으로 동물 실험을 통한 신장 기능의 확인, 평가 등을 위해서는 추적 물질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정교한 실험실 분석이 필요하며, 특히 혈액이나 소변 샘플을 활용해야 하는 이 방법은 많은 인력이나 시간 등 자원의 소요가 수반됨과 동시에 동물에게서 수차례 이상 혈액 채취 및 소변 샘플을 채취해야 하는 방식에서의 불편함, 동물에게 가해지는 부담 등이 단점으로 작용됩니다.

 

4) 하지만, 해당 실험기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할 수 있음은 물론 의식이 있고, 자유롭게 움직이는 쥐 또는 보다 큰 동물에서도 측정이 가능하며, 신속하고 간소화된 전임상 시험 설계·실행이 가능해집니다.

 

5) 참고로 본 실험기기의 사용 방식을 간략히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실험용 동물의 몸통 경피(피부)에 부착

  → 추적 물질로서 "형광 추적제를 정맥에 투여

  → 동물의 체내에 투여한 형광 추적제 수준의 변화(사구체 여과율과 연계) 등은 부착된 실험기기의 광학적 원리를 통해 지속적으로 측정되고, 이 데이터는 연구 목적에 부합되는 다각적인 분석 및 결과 도출에 활용

 

해당 실험기기는 아직 국내에 도입/보유하고 있는 사례가 없기 때문에 대표적인 만성질환 중 하나인 만성신부전 환자를 위한 전임상 연구에 있어 상당히 중요하고, 필요한 범주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