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병 (1~55)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505문답
심장병 (1~55)

심장병 (1~55) 목록

  1. 문16)또 어떤 조직과 비교할 수 있을까요?

    답)여자가 자궁조직과 비교할 수 있는데 여자의 자궁조직이 아이를 밀어낼 때 심장 조직만큼 강해진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자궁은 주야로 쉬지 않고 매일 5만6천㎞ 길이의 혈관으로 4천갤 런의 피를 공급하는 장중한 일을 70여년 거뜬히 해내도록 설계 시공된 장기조직은 아닙니다.

     

  2. 문17)심장의 휴식시간은 없습니까?

    답)좌심실에서 몸으로 한번 펌프질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10분의 3초, 그리고 나서 0.5초의 휴식이 있을 뿐입니다. 물론 인체가 수면상태에 들어가면 모세혈관의 적지 않은 부분이 휴식 상 태에 들어감으로써 작업 부담이 줄어들고 맥박도 느려집니다.

     

  3. 문18)심장은 영양분인 혈액을 무엇으로 공급받습니까?

    답)심장의 정교하고 강인한 펌프작동 장치는 급유 장치처럼 노쇠나 파손에서 오는 구조적 약점 이 많습니다. 심장 자체는 콜라를 마실때 쓰는 빨대보다 별로 크지 않은 관상동맥 두개로부터 영양을 공급받는데 인간의 몸에서 최다 사고 발생지역이 바로 이 터널 부근입니다

     

  4. 문19)심장병 환자들이 한국에서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답)동물성 지방질이 많아진 현대인의 식단, 운동부족, 환경이 조성한 긴장과 스트레스 등의 증 가 때문입니다.

     

  5. 문20)맥박이 1분 동안 100을 넘거나 50 이하일 때 무엇이라고 합니까?

    답)100을 넘으면 빈맥(頻脈)이라 하는데, 이것은 유아에게서, 또는 흥분할 때, 과식할 때, 피로 할 때, 커피나 술을 마시거나 담배를 피울 때의 현상이고, 50이하면 서맥(徐脈)이라고 합니다. 

  6. 문21)심장병에서 나타나는 증상으로 부정맥(不整脈)이란 무엇입니까?

    답)기외수축이라는 부정맥 현상은 우리들 인간생활에서 자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신경질이 났 을때, 숨이 막힐 듯이 답답하고 손발이 차지며 식은땀을 흘릴 때 특히 여성들에게 흔합니다. 그 러나 경색증일때는 심방세동(心房細動)의 빈도가 높습니다.

     

  7. 문22)비대한 사람이 운동을 많이 하면 호흡곤란이나 숨이 차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답)배에 지방이 너무 많이 쪄서 호흡할 때, 횡경막이 제대로 움직여 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 빈혈이나 늑막염이 있어도 숨이 찹니다.

     

  8. 문23)심장의 악화상태를 쉽게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은?

    답)계단을 올라다닐때 보통 3분의1정도 올라갔을 때 숨이 꽉 막히는 현상을 볼 수 있는데, 심장 의 펌프작용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9. 문24)심장병의 증상으로 흉통이란 무엇을 말합니까?

    답)압박하는 듯 누르며, 쥐어짜는 듯 아프고, 숨이 차고 소화불량 같은 증세를 느끼는데, 주로 볼 수 있는 협심증인 경우엔 대부분 주로 가슴 중앙 부위에서 일어납니다.

  10. 문25)심장병 환자의 경우

    답)말초 혈액 순환이 불량하면 코끝·귀·얼굴 등에 청색증(靑色症)이 나타나며 선천적인 심장병 에서는 손끝, 발끝에 청색을 나타내며, 손끝이 곤봉 모양으로 부풀어오르기도 합니다.

     

  11. 문26)심장병의 증세로 전신부종은 어떤 때 일어납니까?

    답)심장 기능이 저하되면 간도 붓고 복수도 생기며 전신에 부종이 나타나는데, 특히 하지에 심 합니다.

     

  12. 문27)심계항진(心悸亢進)이란 무슨 말입니까?

    답)자신의 심장박동을 느끼는 경우를 말하며, 심계항진은 정신적 긴장·흥분·커피·흡연·과음·운동· 약물 등에 의해 쉽게 발생하므로 이들의 유발 관련성이 증명되면 이 원인들을 피해야 합니다. 

  13. 문28)관상동맥경화증(심장마비)발생의 위험인자들은?

    답)소위5대 위험인자가 있는데, 고지질혈증·고혈압·당뇨병·흡연·비만 등입니다.

     

  14. 문29)심장병의 예방대책은 무엇입니까?

    답)①금연을 할 것 ②식사 및 약물을 통한 고혈압의 치료 ③동물성지방 및 콜레스테롤을 감소시 킴으로써 혈중콜레스테롤치를 낮게 유지 ④이상적인 체중을 유지하기 위한 적당한 칼로리를 섭 취할 것 ⑤적당한 운동을 할 것 ⑥당뇨병 치료 등입니다.

     

  15. 문30)흡연은 어떤 질환에 영향을 미칩니까?

    답)①흡연은 폐암을 위시하여 관상동맥 질환뿐만 아니라 말초혈액순환 장애, 뇌혈관장애를 발 생시킵니다. ②여러 가지 위험인자와 복합적으로 작용하므로 그 치명적 작용은 배가됩니다. ③ 흡연과 더불어 피임 약품 등을 투여하는 경우, 혈관계통에 장애가 더욱 잘 발생합니다. ④담배를 끊으면 1년 이내에 이러한 위험률이 50%이상 감소되고, 2~10년이면 피우지 않은 사람과 같게 됩니다.

     

505문답 검색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