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신장병 (261~290)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505문답
만성신장병 (261~290)

만성신장병 (261~290) 목록

  1. 문261)신장(腎臟)은 몇 개 입니까?

    답)2개인데 완두콩 모양으로 생겼습니다.

     

  2. 문262)신장의 크기는 얼마나 됩니까?

    답)길이는 10~12㎝ 정도, 폭은 5~6㎝ 정도, 두께는 3.5~4㎝ 정도이고, 무게는 약 150g 내외입 니다.

     

  3. 문263)신장의 위치는 어디입니까?

    답)약 셋째 요추에서 척추 양측으로 복부의 뒷벽, 즉 후복막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우측 신장은 좌측보다 1~2㎝가량 약간 아래로 내려와 있습니다.

     

     

  4. 문264)신장의 구조는 어떻게 되어 있습니까?

    답)콩팥의 배꼽 부분에 해당하는 곳엔 3개의 관, 즉 동맥 · 정맥 · 요관이 출입합니다. 신장을 넓 게 반으로 잘라보면 표층 5~6㎜는 더 검붉은 점으로 된 무늬인데, 이곳을 피질(皮質)이라 하며, 그 내부층은 줄무늬로 되어 있는데 이를 수질(髓質)이라 하고, 중심부와 배꼽에 해당하는 곳은 비어 있는 공간인데 이곳을 신우(腎盂)라합니다. 피질에는 주로 신사구체가 있고 수질에는 세뇨 관이 있는데 신우는 만들어진 오줌을 모아 요관으로 유도하는 깔대기에 해당합니다.

     

  5. 문265)신장의 역할은 무엇입니까?

    답)크게 5가지로 대별할 수 있는데, 첫째 : 노폐물 배설 기능 둘째 : 체액조절 기능 셋째 : 혈압조절 기능 넷째 : 조혈촉진 기능 다섯째 : 여러가지 물질의 대사조절 기능 등으로 요약되겠습니다.

     

  6. 문266)사구체(絲逑體)란 무엇입니까?

    답)사구체는 모세혈관이 털실과 같이 뭉쳐 있다 해서 이렇게 부르는데, 신동맥에서 갈라져서 세 동맥이 된 다음, 사구체를 통과하면서 여과되어 나온 오줌의 원액은 길고 구불구불한 세뇨관을 거치면서 수분 · 염분 · 당분 · 아미노산 등을 다시 흡수하고, 보낼 물질들을 분비하는 등의 처리 과정을 거쳐 요관(尿管)과 방광(肪胱)으로 나가게 됩니다. 

     

  7. 문267)사구체는 몇 개로 이루어 집니까?

    답)신장 하나에 약 100만개 정도입니다.

     

  8. 문268)싱원(腎元 : 네프론)이란 무엇입니까?

    답)사구체는 그 직경이 0.1㎜이므로 눈으로 겨우 보일 정도이며 한쪽 신장에 1백만개씩의 사구 체가 있는데, 여기에 달려 있는 세뇨관을 기능화 한 구조상의 단위를 신원(네프론, Nephron)이 라고 부릅니다.

     

  9. 문269)신장병이란 무엇입니까?

    답)만성 신장병은 사구체 신염, 간질성 신염, 당뇨병, 요로폐쇄 등 여러 원인에 의한 신장의 손상 으로 신장 기능이 점차 저하되어 만성 신부전이 초래되는 질환입니다.

     

  10. 문270)사구체에서 여과되는 수분의 양은 하루에 얼마나 됩니까?

    답)약 180리터 정도(우리 몸 전체 수분량의 50배 정도) 입니다.

     

  11. 문271)앞에서 신장의 역할을 요약하셨지만, 신장의 기능은 좀 더 상세히 말씀해 주십시요.

    답)①노폐물의 배설기능 ②약물, 독극물의 배설작용 ③순환 혈액량과 혈압의 조절작용 ④산알 카리의 조절작용 ⑤광물질의 조절(칼슘 · 칼륨 · 마그네슘 등) ⑥조혈작용(적혈구의 생산을 돕는 '에리트로포에틴'의 생산에 관여함) ⑦여러가지 호르몬의 생산과 배설(당뇨병에 관계된 인슐린 은 신장에서 배설되며, 이뇨 및 혈압에 관계된 프로스타글란딘 · 트롬복산 등이 신장에서 생산됩 니다. 또 비타민 D를 활성화 시켜 체내의 칼슘 섭취 그 작용에 영향을 미칩니다.)등입니다.

     

  12. 문272)신장병의 여러가지 증상 중, 단백뇨는 무엇입니까?

    답)신장의 사구체는 여과장치인데, 마치 채와 같아서 수분이나 미세한 용액물질과 같은 작은 분 자는 빠져나오지만 단백질 같은 거대 분자나 보다 큰 적혈구 · 백혈구 등은 걸려져 체위에 남게 되는데, 사구체 질환이 있을 때에는 마치 채에 큰 구멍이 난듯이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 나오게 됩니다. 단백뇨가 특히 많이 나오는, 즉 1일 3그램 이상 나오는 질환들을 총칭 '신증후군'이라고 부릅니다.

     

  13. 문273)신장병에서 부종은 왜 생깁니까?

    답)몸이 붓는다는 것은 수분이 많다는 것이지만 신체에서는 염분섭취가 많을때 수분이 뒤따르 게 됩니다. 물은 아래로 흐르는 것이므로 낮에는 다리에, 자고 난 아침에는 특히 눈언저리에 부 종이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얼굴은 붓고(오후에) 다리는 안붓는 다는 것은 부종이 아니거나 경 미한 것을 의미합니다.

    부종은 신장병 외에 간경변, 심장질환, 기아상태, 갑상선질환 등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14. 문274)본태성 고혈압과 신장병과의 관계는?

    답)신장의 염분배설 부족으로 혈압상승 호르몬인 레닌계 호르몬의 분비과다가 동반되어 본태성 고혈압이 장기화 되면 기질적으로 신장이 손상되고 이런 상태가 더욱 고혈압을 유도하는 악순 환을 초래합니다.

     

  15. 문275)만성 신장병의 예방대책은 무엇입니까?

    답)①치료 가능한 만성 신장병의 원인 질환을 찾아내어 이에 대한 대책을 세우고, ②만성 신장병 에서 신기능 소실(消失)을 악화시킬 수 있는 요인을 발견하고 이를 적절히 치료하며, ③만성 신 장병에 의해 이미 신부전이 발생한 경우, 신기능 저하속도를 늦추는 일반적인 치료 방침을 따라 야 합니다.

     

505문답 검색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