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갑통 (361~366)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505문답
견갑통 (361~366)

견갑통 (361~366) 목록

  1. 문361)견갑관절통의 원인은 무엇입니까?

    답)동통의 원인은 여러 가지를 들 수 있으나, 이를 대별하여 보면 근골격계의 장애로 초래된 근 골격통(筋骨格痛), 신경통으로 초래된 방산통(放散痛), 그리고 혈관장애로 오는 혈관성 산통(疝 痛)과 그 외 내장기(內臟器)의 병인에 기인한 방산통 및 관절면의 연골성 장애로 오는 관절통 등 을 열거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고 흔히 발생하는 동통은 퇴행성 건염에 기인한 골격통으로, 이는 비외 상성 견갑통의 약 90%를 차지하며, 점액낭염, 관절피막 주위염 또는 유착상태에서 오는 부동견 관절시에 동통이 흔히 유발될 수 있습니다.

    또한 상지(上肢)의 외전거상(外轉擧上)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회전낭대근(回轉囊帶筋 )의 부착 부위인 상완골두(上腕骨頭)의 외측 대결절면에서 이 근육의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 견 갑통이 흔히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동통의 병적 기전(病的機轉)을 분석하고 고찰함은 진단 뿐만 아니라 견갑통을 치료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분야를 차지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흔히 말하는 유착성 피막염, 즉 부동견관절(50관절)도 견갑관절(肩胛關節)의 심한 운동 제한과 아울러 동통을 초래할 수가 있으니 동통의 자세한 원인분석과 정확한 진단이 치료에 큰 효과를 가져올 수가 있습니다. 근골격계의 장애에 기인된 동통의 원인으로는 ①퇴행성 건염 ②석회화 성 건염 ③활액낭염 등이 있습니다.

     

  2. 문362)견갑관절증(肩胛關節症)의 진단은 어떻게 합니까?

    답)근골격계의 장애로 오는 견갑통은 보통 견갑관절의 전방(前方)에 국한됩니다. 동통이 일어날 경우에는 견갑관절의 전측방에서부터 출현하며, 동시에 압통까지 호소할수가 있고 관절의 운동 범위가 좁아집니다. 즉, 상박(上膊)의 회전운동이 제한되고 전굴(前屈)과 회전운동이 제한될 뿐 만 아니라, 능동적인 운동 범위나 수동적인 운동 범위가 감소되며 운동시에는 심한 통증을 호소 하게 되고 관절 주위에 부종까지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초기에는 이러한 현상이 출현하였다가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동통없이 관절의 주위조직에 강직 성(强直性) 변화가 진행되어 견갑관절의 섬유화성 강직을 초래하게 되고 운동성을 잃게 됩니다.

     

  3. 문363)견갑관절증의 치료는 어떻게 합니까?

    답)급성기인 초기에 있어서 처음 2일간은 온습포보다 오히려 냉습포가 좋은데 얼음주머니로 습 포를 함이 매우 효과적입니다.

    이는 주위 조직들이 경련작용과 반사작용을 감소시켜 동통을 완화시킬수 있으므로, 급성 초기 2일간은 20분 동안 1일 4회 이상, 냉습포를 실시하거나 얼음주머니를 만들어 환부에 도포함이 좋고, 에틸 클로라이드의 분사를 실시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위험한 일입니다.

    2일이 경과한 연후에는 온습포를 실시함이 효과적인데, 이는 많이 하면 할수록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4. 문364)유착성 피막염(被膜炎)도 질병입니까?

    답)이는 일명 오십 어깨, 또는 부동 견관절이라 하여 널리 알려져 있는 질환일 뿐만 아니라, 이러 한 병증이 매우 많아 5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특별한 이유 없이 견갑통이 유발될 경우에는 이 병증을 의심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 질환의 증후군은 관절의 유연성이 소실되어 강직성 변화를 초래함으로써 견갑관절의 능동적 , 수동적 운동에 제한을 받게 되고, 견갑관절 뿐만 아니라 늑골 후방과 견갑골이 이루는 견갑 흉 부관절에까지도 능동적, 수동적 운동의 소실을 초래하게 됩니다.

    동통의 특징으로는 분포된 혈관의 경련과 말초신경 자극에 의하여 부위를 정확히 지적할 수 없 고 표현할 수 없는 이상 야릇한 통증이며, 이러한 동통으로 하여금 관절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므 로 관절상의 유착은 물론이거니와 섬유화성 변화가 진행되어 견갑관절 운동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기능 소실에까지 빠지게 됩니다.

    이 병증의 병리학적 견해에 있어서는 관절막낭(關節膜囊)내외의 유착과 회전낭대근 사이에 있 는 활액막(滑液膜)의 염증으로 인한 유착 및 근육 수축 등이 일어나 견갑대의 모든 근육이 위축 됩니다.

    또한 이로 인하여 견갑관절의 해부학적 기능뿐만 아니라 기능적인 문제에 있어서도 큰 지장을 가져 오게 됩니다.

     

  5. 문365)보동견관절(일명 : 오십견)의 진단은 어떻게 합니까?

    답)이 진찰의 특징은 관절운동이 점차 제한됨과 동시에 동통은 더욱 악화되는 경향으로 귀결되 는 것입니다.

    초기에는 혈관성 충혈의 결과로 경련반사가 나타나 운동제한이 비롯되고 이러한 기간이 약 7~10일 경과 후에도 치료를 하지 않게 되면 증상은 더욱 심하게 진행됩니다.

    동통은 염증성 변화의 조직과 그 조직의 바극 및 압박현상으로 촐현하게 되며, 병적인 진행 과정 에서 상완(팔)의 외회전(外回轉)뿐만 아니라, 외전이나 전후굴신(前後屈伸)운동까지도 마비됩 니다. 그래서 결국에는 능동적 운동이나 수동적 운동력의 모든 운동이 소실되어 운동 범위가 마 비됩니다.

     

  6. 문366)이의 치료에 대하여 말씀해 주십시요.

    답)부동견관절의 치료는 관절의 섬유성 변화, 이차적인 관절염 또는 근육의 강직성 위축 그리고 관절 주위의 골격에 골관절증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를 방지 하는데 큰 목적이 있습니 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는 견갑관절의 활동적인 운동력만이 이를 방지할 수 있으며, 그 렇게 함으로써 동통이나 운동 제한의 중요한 증상이 완화될 뿐만 아니라 관절의 정상성을 유지 함에 있어 최선의 길이라 하겠습니다.

    이에 대한 치료 방법을 소개하면 약물요법, 국소요법, 그리고 운동요법 및 조작요법 등 세가지로 크게 나누어 분류할 수 있습니다.

    ①약물요법은 아스피린 계열의 약물이나 소염 진통제가 이에 속합니다. 이러한 약물은 위장장 애게 출현할 가능성이 많으므로 반드시 소화제와 병용함이 이상적이라 하겠습니다.

    그 외 효과적인 약품으로서는 페닐부타존 계열의 약물로 부타졸리딘이 소개되어 있는데, 이는 전신적 상태가 아주 양호할 때 하루 200㎎을 3분하여 식후에 3일간 복용할수가 있습니다. 그리 고 경구 스테로이드 계열의 약물도 이와 마찬가지로 짧은 기간동안 사용할 수가 있는데, 주로 많 이 사용하는 약물은 프레드니솔론정제로, 하루 200㎎을 3분하여 약 3일간 복용할 수가 있습니 다. 이러한 약물은 매우 주의해야 하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의사의 지시가 요망됩니다.

    ②국소요법으로는 국소 마취제인 프로카인액과 스테로이드약을 각각 적량 혼합하여 압통이 가 장 심한 환부에 직접 주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동통이 발생하는 부위에 온습포를 자주해 서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키고 혈액순환을 도와 원활히 해 주는 방법이 이에 속합니다.

    그 외에 근육 이완제로 제조된 약물을 환부에 직접 도포하는 수가 있으나, 이는 일시적인 것일 뿐이지 큰 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습니다.

    ③운동요법 및 조작요법에 대하여 말씀드리면 운동요법은 앞에서 소개했던 모든 운동방법이 이 에 속합니다.

    맨 처음부터 시작해야 할 운동요법은 수하 운동이며 이를 실시한 연후에 점차 강한 능동적인 운 동을 실시함이 매우 효과적입니다. 특히 율동적인 안정 조작운동법은 부동관절 치료에 가장 이 상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의사와 물리치료사에 의해 이루어져야 할 것이 며 이와 아울러 저항력 있는 강력한 운동을 환자 스스로가 병행함으로써 치료가 가능합니다.

     

505문답 검색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