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 (463~469)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505문답
폐암 (463~469)

폐암 (463~469) 목록

  1. 문463)우리나라에서의 폐암 발생률은 외국에 비하여 어떠합니까?

    답)재미있는 비교인데, 폐암 발생률이 미국에서는 제1위, 일본에서는 위암에 이어 제2위, 우리 나라에서는 위암, 간암(여성에선 자궁암)에 이어 제3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식생활 및 개인 위생의 개선으로 위암 · 자궁암이 줄어든다면 폐암이 제1위로 부상 활 가능성이 높습니다.

    역설적으로 말해 그 나라의 문명화 정도 또는 경제력과 유사한 양상을 보 이는데 우리도 담배를 열심히 피운다면 폐암이 더 빨리 제1위로 부상할 수도 있습니다.

     

  2. 문464)폐암의 원인으로서 무엇이 있습니까?

    답)폐암의 제일 중요한 원인은 흡연입니다.

    담배 연기속에 함유되어 있는 벤조피렌이 주범으로 기관지 내의 점막에 변화를 일으며 폐암을 유발합니다.

    그외의 대기오염 등의 공해, 유해한 작업환경 그리고 폐의 만성염증성 질환 등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3. 문465)실제로 담배를 피울 때, 폐암에 걸릴 가능성은 얼마나 높아지나요?

    답)통계적으로 담배를 하루에 2갑씩 20년간을 피우면, 피우지 않는 사람에 비하여, 폐암의 발생 빈도가 60~70배 정도 높은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 여성 흡연 인구의 증가와 더불 어 여성 폐암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도 담배의 영향을 대변해 주고 있습니다.

    또한 폐 암 환자의 90%는 흡연가라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4. 문466)담배를 피우는 50대 남자인데, 기침과 가래가 많은데 폐암이 아닐까요?

    답)말씀하신 증상만 가지고 속단하기는 어렵겠습니다.

    일반적으로 폐암의 증상은 기침 및 가래 의 증가 · 쉰 목소리 · 혈담 · 호흡곤란 · 가슴의 통증 또는 원인모를 체중의 감소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폐암은 전신적으로 퍼지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앞서 말한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기 전 에 암의 전이로 인한 두통, 팔다리 마비 또는 통증 · 황달 등의 증상이 먼저 나타날 수도 있습니 다.

    또한 빗장뼈 바로 위의 목부위에서 멍울이 만져지는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기침과 가래가 많으시다면 일단 병원에 들러 진찰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5. 문467)아빠가 담배를 많이 피우는데 폐암이 염려됩니다. 폐암의 조기 진단에 대하여 말 씀해 주세요.

    답)조기 진단을 위해서는 흉부 X-선 촬영 및 객담 세포검사가 우선 필요합니다. 이러한 검사들 은 검사법 자체가 간단하고 적은 비용으로도 가능하며, 결과 확인도 4~5일정도면 충분한데 그 정확도도 높습니다.

    중요한 점은 무서운 폐암이라도 조기에 발견만 된다면 완치가 가능합니다.

    그러므로 40대 이상 의 연령층에서 그간 담배를 많이 피웠던 사람은 위의 검사등을 받아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6. 문468)폐암의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답)일반적으로 비소(非小) 세포성 폐암의 경우는 수술 또는 방사선 치료, 소(小)세포성 폐암의 경우는 항암제 치료가 주된 방법입니다만, 진행 정도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폐암도 초기에 발견되면 상기한 치료법으로 완치가 가능하며 진행된 경우에도 열심히 치료 받 으면 증상의 완화 및 수명의 연장이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7. 문469)폐암의 예방법을 알려 주십시요.

    답)금연이 제일 중요합니다. 앞서 말한 것처럼 담배를 오랫동안 피웠던 사람도, 담배를 끊으면 폐암의 발생 위험도가 현저히 감소하므로 실망하지 말고 이제라도 금연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 직합니다.

    간접 흡연도 문제가 되므로 타인을 위해서라도 금연이 필요합니다. 그 외에 원인에서 설명드린 위험 요소들을 피하는 것도 예방책입니다.

     

505문답 검색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