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유방은 에스트로겐 호르몬에 장기간 노출되는 상황일 때 즉, 임신을 한 적이 없는 여성, 초경 (初經)이 빠르고 폐경(閉經)이 늦은 사람, 수유(授乳)의 경험이 없는 여성에게서 발생의 위험이 높습니다.
답)유방암이 꼭 유전이라고 얘기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유방암 환자가 있는 가족에서의 발생 빈도가 높은 것은 인정되고 있습니다.
어머니나 자매들 중 유방암 환자가 있는 경우는 발생률이 2배 내지 3배 높으며, 발생 시기도 일반인보다 15~20년 빨리 발생합니다.
답)흔히 통증없는 유방의 멍울이 촉진(觸診)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겨드랑이 임파절증대, 피부 습진, 부종 및 홍반, 젖꼭지의 함몰 및 피와 같은 분비물 등을 들수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하겠습니다.
답)월경 직 후, 양 유방에 멍울이 있는지를 각각 반대편 손으로 세밀하게 만져 보아야 합니다. 거 울 앞에 서서 유두 함몰, 피부색 등을 관찰하고 양팔을 들어 올려 끌려 올라가는 부분이 있는지 봅시다.
이상 소견이 있으면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도록 합니다.
답)유방암은 근래까지 유방 · 흉근 · 겨드랑이 임파절을 포함하여 광범위하게 절제하는 방법에 의해 치료해 왔습니다.
최근 종양의 크기가 작을 때(3㎝이내)는 종양만 제거하고 방사선 치료를 해줌으로써 유방을 절 제하지 않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겨드랑이 임파절 절제는 해주어야 하므로 다소 남고, 방사선 치료로 인한 유방의 섬유화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유방의 외형은 큰 손상없이 보존할 수 있습니다.
답)수술적 치료만 한 경우 종양의 크기가 2~5m일 때, 겨드랑이 임파절에 전이가 있을 때는 재 발율이 매우 높습니다.
그러므로 수술 후, 항암 화학요법을 해 주어야 합니다.
종양 세포의 에스트로젠 및 푸로제스테론 수용체 양성 환자에게는 호르몬 요법을 첨가하거나, 혹은 단독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종양 크기가 크거나 흉벽이나 피부침윤, 겨드랑이 임파절 전이수가 많을 때는 방사선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