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남자는 1.2~1.5㎏ 정도이고, 여자는 0.9~1.2㎏ 정도입니다.
답)약 3천억개라고 합니다.
답)①소화관에서 흡수된 탄수화물 · 아미노산 · 지방 등 여러가지 영양분을 처리하고 저장하는 일을 합니다.
②알부민이나 혈액 응고인자 등 혈액내의 단백질을 만들어 내는 일을 합니다.
③면역 글로블린을 운반하고 여러가지 항원을 없애는 면역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④우리 몸속에서 만들어지거나 몸밖에서 들어온 여러가지 해로운 물질들을 해독하는 일을 합니 다.
⑤담즙을 만들어 소화기관에 분비함으로써 지방질의 흡수를 위해 분해하는 일을 합니다.
답)아이가 태어난 후, 담즙이 십이지장으로 분비되지 않아 황달이 나타나서 온몸이 노랗게 되고 대변이 잿빛모양으로 되는 질병인데, 주로 신생아 간염과 선천성 담도폐쇄증이라고 하는 두 질 환에 의해 나타납니다. 빨리 치료하면 완쾌되지만 일부는 간이 굳어져 간경변증으로 사망하기 도 합니다.
특히 선천성 담도폐쇄증은 태어나면서부터 담즙이 장관으로 분비되는 통로인 담관에 주로 염증 이 생겨서 점점 막히게 되므로 생후 10주 이내에 빨리 진단하여 수술하지 않으면 사망하게 됩니 다.
답)A형 간염과 B형 간염이 있습니다.
A형 간염은 주로 취학 전 아동에게서 여러 사람들과의 접촉이나 또는 음식물과 음료수를 통하여 감염되는데, 환자에서 갑자기 열이 나면서 식욕이 떨어지고 쉽게 피로감을 느끼며 구역질 · 구토 증 · 복통 등에 이어서 때때로 황달이 나타났다가 이러한 증상들이 수주간에 걸려 회복되기도 합 니다.
이 때의 증상은 간이 커져 있고, 간 부위를 누르면 통증이 유발되며, 간기능 검사를 해보면 혈액
속에 간세포가 파괴되어 있을을 알 수 있습니다. B형 간염은 주로 수혈 등 혈액을 통해 감염되지만 음식물이나 성적 접촉을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특히,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산모는 신생아가 태반을 통하여 감염될 수 있으므 로 출생 즉시 예방접종을 하는 일이 매우 중요합니다.
답)어느 연령에서나 감염될 수 있으나 주로 어린나이에 감염됩니다.
답)아무 증상없이 바이러스만 계속 갖고 있는 사람을 말합니다.
답)간세포에서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염증을 6개월 이상 갖고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답)그동안 A형도 아니고 B형도 아닌 감염을 C형 간염이라고 불러왔습니다. 이렇게 그 병원체가 규명되지 않았던 비A, 비B(Non A, Non B)형 간염이 1989년 미국 Chiron 연구소의 연구진에 의 하여 그 본체가 밝혀졌습니다.
급성간염의 경우, 항체형성 시기가 늦어서 C형 간염인 경우에도 불구하고 C형 간염항체(Anti-
HCV)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C형 간염은 급성간염후에 약 50%에서 만성으로 진행되며, 임상경과가 서서리 진행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수혈에서오는 간염의 약 90%가 C형 간염과 관련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우리나 라 헌혈자의 약 1% 미만에서 C형 간염항체가 검출되고 있고, 혈액에 노출될 위험이 높은 인공 투석 환자나 혈우병 환자에서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세의대에서 조사한 보고에 의하면, 우리나라 만성간염 · 간경변 · 간암의 약 15%정도는 C형 간염 바이러스와 관련이 있다 고 합니다.
답)만성간염으로 인한 간세포의 파괴와 염증세포의 침윤외에 두꺼운 섬유질이 조직내에 형성될 뿐 아니라, 나머지 살아있는 간세포들이 재생하여 결절을 만들기 때문에 간의 정상적인 구조는 소실되고, 간의 형태도 일그러지며 굳어지는 병변상태를 말합니다. 간의 표면은 마치 자갈밭처 럼 울퉁불퉁해지면서 전반적으로 쪼그라지게 됩니다.
답)①바이러스 감염 ②만성활동성 간염 ③알코올 ④담즙의 울체 ⑤헤모크로마토시스 ⑥심장성 간병변 ⑦윌슨씨병 ⑧약물 ⑨기타 등입니다.
답)일반적으로 만성간염과 비슷합니다. 쉽게 피곤하다든지, 허약감이 들거나 구역질이나 식욕 감퇴, 또는 헛배가 부르고 방귀가 자주 나오는 등 소화불량같은 증상이 흔히 나타나며 오줌이 진 해지고 황달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잇몸에서 출혈이나 코피가 쉽게 나고 성욕이 감퇴되거나 여성인 경우에는 월경이 없어지기도 합니다. 얼굴이 흑갈색으로 거칠어진다든지, 눈 흰자위에 황달이 나타나거나 주로 뺨에 모세혈 관이 확장되어 보일 경우도 있습니다.
목이나 가슴에는 거미줄 모양의 혈관종이 생기고 겨드랑이의 털이 빠지거나 남자의 젖이 여성 처럼 부풀기도 하며 고환이 위축되기도 합니다. 손바닥이나 발바닥의 혈관이 확장되어 벌겋게 보이거나 치질로 고생하는 분도 많습니다.
답)복수(腹水)나 식도정맥류(食道靜脈瘤) 파열에 의한 출혈 및 간성뇌증(肝性腦症)과 같은 혼수 나 합병증이 나타납니다.
답)우리나라는 전 인구의 10% 즉, 10명 중 1명은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만성감염 상태이기 때문 에 큰 문제가 되는데, 결국 예방책은 B형 간염을 예방하는 길밖에 없습니다. 또한 일반적인 환경 위생의 개선이 필요한데, 끓인물을 먹고 식기를 소독해서 사용하며 반드시 1회용 주사기를 쓰되 , 수혈시는 특히 조심하며, 침을 맞을때도 반드시 소독 후 사용하고 문신은 금지해야 합니다.
답)①충분한 단백질을 섭취해야 합니다
②열량보충으로 설탕 · 꿀 · 잼 · 저감미성(底甘味性)당질 식품을 허용합니다.
③고열량, 고비타민 식사를 권장하지만, 비만인 경우는 1일 필요열량을 줄일 수도 있습니다.
④술은 금지시킵니다.
⑤간성혼수가 있을 때는 단백질을 제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