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416~427)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505문답
위암 (416~427)

위암 (416~427) 목록

  1. 문416)위암 환자의 평균 연령은 얼마입니까?

    답)평균 연령은 약 51세 정도이며, 대부분이 40~60대이나 20대의 젊은 사람들에게서 발견된 경 우도 3%가량되며, 남자에게서 여자보다 2배나 더 발견됩니다

     

     

  2. 문417)위암은 위의 표면 어느 위치에서 잘 발생합니까?

    답)위의 표면 점막세포에서 발생하여 점막 →점막하층 →근육층 및 장막층을 따라서 깊이 파고 들고 심하면 위벽을 뚫고 복막내에 퍼지게 됩니다.

     

  3. 문418)조기 위암이란 무엇입니까?

    답)조기 위암이란 암세포가 점막층 및 점막하층에만 국한되어 있고, 근육층과 장막층에는 침범 이 없는 것을 말하며, 임파절 전이 여부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이러한 조기 위암 상태에서 발견 수술하면 95%이상 완치시킬 수 있습니다.

     

     

  4. 문419)위암의 1기~4기까지의 진행 상태는 어떠합니까?

    답)위벽의 침윤 정도의 임파절 전이상태, 원격정의 여부에 따라 위암을 제1기에서 부터 제4기까 지로 나누는데 제4기로 갈수록 위암의 진행이 심한 경우입니다.

     

  5. 문420)위암의 발생이 먹는 음식과 관계가 있습니까?

    답)쌀을 주식으로 하는 한국 · 일본 등에서는 위암의 발생이 그간 많았던 추세였는데, 미국 같은 곳에서는 점점 줄어들고 있으므로, 먹는 음식과의 관계가 계속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한국 사람은 된장을 많이 먹는데 이 된장 속에 '아플라톡신'이란 것이 있어서 이것이 발암물질이 라고 생각된 때도 있었고, 쇠고기 · 불고기 · 생선구이 등 구어서 먹으면 구울 때 생긴 탄 것이 암 을 유발시킨다고 신경이 예민한 사람들은 불고기 맛을 그르친 일도 있습니다. 그리고 독한 술의 계속적인 자극이나 양이 많게 먹으 물리적인 자극을 가하는 것이 그 원인이 되는 것이 아닐까 추 측하기도 하는 등 이런 것, 저런 것들을 들먹거리고 있는 형편입니다.

    또한 고사리나물이 발암물질이라고 하여 연구 보고된 일도 있습니다. 그러나 어느것도 그 원인 이라고 단정짓기는 곤란합니다.

     

  6. 문421)위암의 발생과 관계가 있는 음식물과 억제 효과가 있는 음식물로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답)짜고 매운 음식이나 뜨거운 음식, 타고 그을린 음식, 방부제 등은 발암물질이며, 메주 · 우유 · 비타민C · 인삼 등은 억제 효과가 있는 음식물입니다.

     

  7. 문422)위암을 수술하면 완치시킬 수가 있습니까?

    답)조기진단하여 수술하면 완치시킬 수 있습니다. 주변이나 먼 부위에 번져가지 않았으면 완치 될 가능성이 많습니다. 수술한 뒤에 약 54년간 경과해도 재발하지 않으면 완치되었다고 봅니다.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의 실적을 종합해 보면, 대개 100명의 위암환자 중 20명 정도가 완치되 는 것으로 결과가 나와 있으며, 만약 위 주위의 임파절에 암이 퍼져 있지 않고 위에만 국한되었 을 경우에는 100명 중 40명이 완치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8. 문423)위암의 증상은 어떻게 나타납니까?

    답)아무 증상이 없을 수 있으므로 조기진단이 어렵고, 상복부 동통이나 불쾌감 · 팽만감 · 소화불 량 · 트림 · 식욕감퇴 · 체중 감소 · 구토 · 토혈 등의 증세를 보입니다.

     

  9. 문424)위암을 수술하지 않고 치료하는 방법은 없습니까?

    답)물론 암을 치료하는데 항암제를 투여하거나 방사선 치료를 하는 방법들이 있겠는데, 위암은 지금으로서는 수술 하는 것이 제일 확실한 방법입니다. 조기에 발견하여 조기에 수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그 다음에 항암제를 투여하고 면역요법제를 투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10. 문425)진행성 위암인 경우, 수술적 방법대신 항암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로 치료할 수 있는지요?

    답)위암은 국소 및 주위 임파절까지 퍼졌어도 이를 포함하여 광범위하게 절제해 내는 것만이 완 치를 기대할 수 있는 유일한 길입니다. 그러므로 위암의 수술 후 항암제 투여나 방사선요법이 첨 가 치료될 수는 있으나 이것이 수술과 대치할 수는 없습니다.

     

  11. 문426)위암의 예방대책은 무엇입니까?

    답)지난 16년간 서울대학교 병원에 등록된 4천 56명의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 면 3기 환자가 전체의 47.9%로 가장 많았으며, 4기가 33.3% 2기 11.2%, 1기 7.6%로 대다수의 환자가 병세가 상당히 악화된 후 내원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5년 생존율은 병이 악화될수록 훨씬 떨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결국 위암의 조기 발견의 중 요성이 강조됩니다. 따라서 위암의 예방으로는 평소 건강한 식생활을 영위하면서 주기적으로 건강진단과 검사가 매우 중요합니다.

     

  12. 문427)우리나라에 그처럼 많은 이유와 예방책은 무엇인지요?

    답)우리나라는 남자 암의 약 30%, 여자 암중의 약 20%가 위암일 정도록 발생률이 높습니다. 위 암은 소금에 짜게 절인 음식, 태우거나 높은 온도에서 오래 구운 음식을 먹는 사람에게 많습니다 .신선한 야채와 우유를 식사 때마다 먹는 사람은 위암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505문답 검색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