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풍 (171~180)

본문 바로가기

만성질환 505문답
통풍 (171~180)

통풍 (171~180) 목록

  1. 문171)통풍이란 어떤 병입니까?

    답)통풍(痛風)이란 혈액속의 요산이 증가해서 생기는 병으로 옛부터 서양에서는 무서운 병으로 알려져 왔으며, 알렉산더 대왕, 루이 16세, 뉴턴, 루터, 다빈치, 벤자민 프랭클린 등 유명인사와 왕족들 중에 환자가 많았다해서 제왕병이란 별명도 갖고 있는 성인병입니다. 통풍 역시 단순한 관절염만은 아니고 신체의 각 장기, 특히 신장을 잘 침범하는 대사성 질환입니다.

     

  2. 문172)통풍의 원인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요.

    답)40대 이후의 남자, 비만증, 상류층, 지식인, 온대지방에 많으며, 여성에게는 폐경기 이후에나 드물게 생기고, 유전적 요인이 강한 병입니다. 통풍환자의 혈액 속에 요산이 많은 이유는 몸에서 요산이 많이 생성되는 경우와 신장기능의 장애 등으로 요산의 배설이 안되는 경우의 2가지로 요 약할 수 있습니다만 혈중에 요산이 많다고 다른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어떤 계기에 증상 의 발작이 일어나게 되는데, 과도한 신체적 및 정신적 피로, 과음, 과식(특히 육류), 외상, 수술 후에 발작이 잘 일어나고 이뇨제와 결핵약의 일부도 요산을 증가시켜 관절통을 일으킬 수 있으 므로 주의를 요합니다.

  3. 문173)통풍의 임상 경과와 증상을 말씀해 주십시요.

    답)통풍은 그 임상 경과를 흔히 1기 : 증상없이 혈중요산만 증가된 시기, 2기 : 급성 관절염, 3기 : 휴지기, 4기 : 만성 통풍성관절염의 4시기로 나누며, 1기를 제외한 어느 시기에도 신장결석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급성 관절염은 대부분 엄지발가락의 부리가 갑자기 아픈것으로 시작됩니다. (드물게 는 발목, 발꿈치) 관절은 빨갛게 부어 오르고 열이 나며 약간 닿기만 해도 심한 통증을 느끼고 걸을 수가 없습니다.

    특징적으로 발작은 밤에 자는 동안에 주로 일어나며, 피로 · 과음 · 과식등 유발요인이 대개는 있 습니다. 통증이 심할 때는 오한과 함께 열이 나기도 해서 화농성관절염으로 오인될 수도 있고 병 이 진행함에 따라 엄지발가락 외에 다른 관절로 옮아가기도 하지만 상지에는 잘 안생깁니다. 급성 발작은 2~3주 치료로 낫지만 병이 아주 낫는 것은 아니며, 90% 이상은 1년 이내에 두번째 의 발작을 경험하게 되고, 이후로는 발작의 빈도가 점차 잦아집니다.

    만성화 되면 통풍결절이라는 것이 생기는데, 특징적으로 귓볼부위에 쌀알만한 결절이 생기며, 이 밖에도 팔꿈치나 아킬레스건 등 압력을 받기 쉬운 부위에 잘 생깁니다. 병의 경과 중에 신장 결석을 비롯한 각종 신장장해가 출현하며, 통풍환자 90% 이상에서 나타나고, 이 중 일부는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합니다. 이외에 고혈압 · 고지질혈증· 비만증도 통풍과 잘 동반됩니다.

     

  4. 문174)통풍의 진단은 어떻게 합니까?

    답)혈액검사상 요산이 증가되고, 특징적인 증상을 보이며 관절강에서 물을 뽑아 요산의 결정체 를 증명하면 확진이 됩니다.

     

  5. 문175)통풍을 나타낼 소인을 가진 경우, 혈액내의 요산량은 어느 정도입니까?

    답)정상인은 혈액 100㎖중 요산이 6㎎ 정도인데, 10㎎ 이상인 사람은 오랜 시일이 지난 후 발에 서 통풍의 발현을 볼 수 있고, 8㎎ 이상이면 주의해야 되겠습니다.

  6. 문176)통풍의 치료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요.

    답)요산을 감소시키는 것이 치료의 기본방침이며, 현재 쓰이는 약은 요산생성 억제제와 배설촉 진제가 있고, 급성 관절염의 시기에는 '콜키친'과 '인도메타신'등의 소염제도 큰 효과가 있습니 다. 이 같은 약을 장기간 복용하면 요산도 감소되고 발작의 예방 효과도 있지만, 부작용도 꽤 있 으므로 의사의 지시없이 함부로 써서는 절대로 안되고 반드시 정기적인 혈액요산 검사를 하면 서 의사의 지도하에 투약해야 합니다.

     

  7. 문177)식사관리에서 주의할 것은 무엇입니까?

    답)식사는 알칼리성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산성이 되기 쉬운 식사는 위험하니 피해야 하 겠습니다. 다시말해서 요산을 축적시킬 수 있는 식사는 나쁘기 때문에 이를 주의하자는 것입니 다.

     

  8. 문178)채내에선 어떻게 해서 요산이 만들어집니까?

    답)요산은 생리적 산물로서 단백질에는 요산의 원인이 되는 퓨린(Purine)체라는 성분이 있습니 다 .이것이 깨지면 요산이 됩니다. 또 이외에 합성되는 수도 있습니다.

     

  9. 문179)그렇다면 육류는 덜 섭취해야 좋겠군요?

    답)그렇습니다. 육류는 대략 단백질 식품이고, 요산은 단백질에서 합성되므로 역시 육류는 핵단 백이 특히 많아서 요산을 과다하게 만드는 식품입니다. 요사이는 옛날처럼 크게 중요시 하지 않 으나, 지방과 육류, 특히 고기 중에서도 빨간 살코기는 덜 섭취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10. 문180)통풍의 예방에 관하여 말씀해 주십시요.

    답)신체적, 정신적 과로를 피하고 수면을 충분히 취해야 하며 철야작업 등은 특히 해롭습니다. 폭음 · 폭식을 삼가하고 냉방장치도 해로우며 운동은 상관없고, 특히 비만한 사람은 체중을 줄여 야 합니다.

    혈액요산은 대부분 음식물(특히 육류)에서 생기므로 육식을 제한해야 합니다. 또 병에도 가짜가 있어 가짜통풍(가통풍)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가통풍은 역시 노인에 많이 생기고 증상은 통풍과 거의 같으나 무릎에 잘 생기며, 남녀 모두에 같이 생깁니다.

    통풍의 원인이 요산임에 반해서 가통풍은 칼슘이 그 원인이 되며, 약물치료로 잘 호전됩니다.

     

505문답 검색

주소 : 우06676 서울 서초구 방배동 424-28 방배롯데캐슬아르떼 단지 상가A동 206호
| TEL : 02)588-1461~2 | FAX : 02)588-1460
Homepage : www.acdm.or.kr | E-mail : mail@acdm.or.kr
Copyrightⓒ 2015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ll rights reserved
  •  
  •